Category Archives: 소프트웨어

조합형 글꼴의 기술 분석

한글 인코딩에 관한 조합형 완성형 논쟁은 유니코드에서 완성형과 조합형 모두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종결되었지만, 한글 글꼴 구현에는 조합형 완성형 논쟁의 잔재가 아직까지도 남아 있고 글꼴을 갖다 써야 하는 곳에 따라서 과거의 조합형 글꼴을 아직도 써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당장 일부 한글 글꼴이 완성형 2350자 이외의 글자에 대한 글리프가 없어서 해당 글자를 입력하면 깨지는 것도 이 시기의 잔재이다. 디스플레이 화소 수가 적고 메모리 공간이 KB 대에서 노는 임베디드 환경이라면 조합형 글꼴(조합형 인코딩이 아님!)로 한글을 표시하는 게 유리할 수 있다. 한글 낱자가 들어오면 그것들을 나눗셈과 나머지 연산으로 자소 단위로 분해하고 수백개의 글리프 중 최대 3개를 OR 조합해서 표시하는 게 2350/11172자 모두의 글리프를 들고 있다가 표시하는 것보다 데이터 양은 더 적게 필요하다. 그 동안 도스 시절의 한글 바이오스나 컴퓨터 역사 초기의 한글 구현을 분석하면서 알게 되었던 각종 조합형 글꼴 구성을 이 글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8x4x4 조합형 글꼴

상당히 많은 곳에서 쓰이고 있는 조합형 글꼴 구성 방식이다. 원리는 지금도 잘 알려져 있고 명세를 구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링크). 초성 8벌, 중성 4벌, 종성 4벌에 해당하는 글리프를 미리 만들어 두고 자모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글리프를 사용한다. 8x4x4 조합형의 구현체는 많은 곳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조합 방식의 글꼴을 사용하는 곳과 추출하는 방법만을 여기에서 소개한다.

  • 글꼴 통합 변환기(링크): 8x4x4 조합형 글꼴을 BDF나 TTF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 한글을 자유롭게 1.54(링크): 실행 파일 한 개로 구성된 한글 바이오스이다. 실행 파일 자체는 DIET 패커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압축을 풀어 주어야 비트맵을 추출할 수 있다. 글꼴은 한 종류만 들어가 있다.
  • 한글 1.2, 1.5: 이 시기의 한글은 HFT 글꼴을 사용하지 않았고 프린터용 PFT와 화면용 SFT 글꼴을 사용했다. SFT 파일 형식은 헤더 32바이트만 잘라내면 나머지는 바이너리 비트맵이다.
  • 태백한글 1.01, 1.5, 2.0, 3.0, 3.5: 글꼴은 전 버전 모두 FNT 확장자를 사용하며, 바이너리 비트맵이기 때문에 글꼴 통합 변환기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단 태백한글 3.0 이후의 24×24 등 16×16 초과 글꼴은 글꼴 통합 변환기로는 처리가 불가능하다.
  • 미니 한글 라이브러리: 소스 코드의 FONT.C 파일에 8x4x4 비트맵이 하드코딩되어 있다.
  • HT: 실행 파일은 LZEXE로 압축되어 있다. 파일의 압축을 풀면 8x4x4 비트맵이 내장되어 있다.
  • 도깨비 1.2, 1.?: FNT 파일은 8x4x4 조합을 사용하고 있다.

10x4x4 조합형 글꼴

8x4x4 조합형에서 초성 글리프가 두 벌 더 들어간 형태이다. 중성과 종성 조합 규칙은 8x4x4와 동일하나 초성 조합 규칙은 살짝 다르다. 글꼴 통합 변환기의 hanlib/Table8x4x4.c 파일과 hanlib/Table10x4x4.c 파일을 비교하면서 보면 이해할 수 있다. 아래에 있는 두 종류의 10x4x4 조합형 글꼴은 높이 문제 때문에 그대로 통합 변환기에 전달할 수는 없으며 적절하게 높이를 조정해 줘야 한다.

  • GSVIP(금성 한글 BIOS) 3.52: 글꼴은 GSF 확장자를 사용한다.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인지 16×16 글꼴임에도 불구하고 초성, 중성, 종성의 세로 높이는 각각 벌마다 일정하지 않다. 아래 그림은 의도적으로 16×16 사각형에 모든 벌을 출력하도록 설정했으나, 초성과 종성은 세로 출력 위치를 조정해 주어야 제대로 된 글자를 볼 수 있다.
  • HECON(대우통신 한글 BIOS) 4.00.20: HECON.EXE 파일에 내장된 글꼴도 이 쪽에 속하지만 역시 높이가 일정하지 않다. HE24.SYS 파일의 24×24 한글 글꼴은 12x2x4 조합을 사용한다.
GSVIP 한글 글꼴 예제
GSVIP 한글 글꼴 예제

14x6x4 조합형 글꼴

아직까지 이 조합형을 사용하는 곳은 삼보컴퓨터 계열밖에 보지 못했다. 초성 벌 수가 상당히 많이 들어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중성은 x6이라고 쓰기는 했으나 일부 중성만 6벌이 들어가 있고 대부분 중성은 3벌만 들어가 있다. 아직까지 정확한 조합 방법을 찾지는 못했다. 특이하게 아래아가 중성 조합 중에 들어가 있다.

  • TGHP 1.20: HAN16.FNT와 HAN24.FNT에 각각 16×16, 24×24 글꼴이 들어가 있다. 24×24 글꼴은 초성 조합 벌 수가 13이나 12벌인 경우가 있다.
  • GHCON 1.0: GHCON.DAT 파일 내에 모든 것이 다 들어가 있다.
GHCON 한글 글꼴 예제

기타 조합형 글꼴

  • 도깨비 한글 5.1: DKB16.FNT 파일을 열어 보면 일부 자모는 완성되어 있고 일부 자모는 거기에 추가로 조합된다. 저작권 공지: “한글도깨비 폰트카드를 한글도깨비4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 반드시 저작권자의 사전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 한메 한글 1.01, 3.1: HANME.FNT 파일은 5x2x3 조합을 사용하지만 BE/HAN.FNT 파일은 8x4x4 조합을 사용한다.
  • 한라프로 3.0: 다양한 조합형 글꼴을 구현하고 있는 한글 라이브러리이다. 각각 글꼴 처리법은 소스 코드에서 참조가 가능할 듯.
    • HAN10MD1.FNT: 10x4x4
    • HAN121GD.FNT: 1x2x1
    • HAN113GD.FNT: 1x1x3
    • HAN212GD.FNT: 2x1x2
    • HAN213GD.FNT: 2x1x3
    • HAN412GS.FNT: 4x1x2
    • HAN5GD1.F24: 5x2x2, 24×24
    • HAN7GD1.F24: 7x2x2, 24×24
    • HAN8GD1.FNT: 8x4x4
  • 한맥한글 3.0: 글꼴마다 조합 규칙이 살짝살짝 다르다.
  • 우리글 2.1 데모: HANPAN3.HSF 파일에서 10x2x2 조합을 사용한다.

분석 유틸리티

  • Crystaltile2(https://www.romhacking.net/utilities/818/): 바이너리 파일에 있는 데이터를 임의의 크기 비트맵으로 간주하여 볼 수 있는 유틸리티이다. 압축되지 않은 한글 비트맵 글꼴을 분석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신 리눅스에서 심시티 3000 즐기기

알고 계십니까? 심시티 3000에는 네이티브 리눅스 포트가 있다는 사실을. 당장 구글에서 ‘심시티 3000 리눅스’라고 검색을 해도 이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리눅스 포트가 나온 건 심시티 3000이 나왔을 무렵이었고, 지금은 망해버린 로키 소프트웨어(2002년에 망했지만 아직도 웹 사이트는 열려 있다)가 포팅을 하였다. 같은 시기에 나온 윈도용 심시티 3000은 최근의 윈도에서도 잘 돌아가지만, 리눅스 세계는 자고 일어나면 뭔가 바뀌어 있는데다가 유저랜드까지도 오픈소스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바이너리로만 배포되는 프로그램은 ‘지원하는 배포판’을 벗어나면 삽질의 시작이다. 심시티 3000 또한 그렇다.

어쨌든, 로키 소프트웨어가 망한 이후에 여러 사람들이 저 때 당시 사용되었던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패키징해서, 로키 소프트웨어가 포팅했던 게임을 비교적 최근의 배포판에서도 돌릴 수 있도록 해 주는 별도의 라이브러리 패키지를 만들었다. 대개 loki_compat 따위로 검색해 보면 나온다. 우분투 6.xx에서 심시티 3000을 돌리려면 이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지원 따위 끊긴 상당히 오래된 버전의 glibc/SDL/기타등등 라이브러리를 사용했기 때문에 이건 필수다. 하지만 주의깊게 지시 사항을 따라하지 않으면 실패하기 십상이며, 나도 이 때문에 loki_compat 라이브러리를 받아 놓고도 이게 제대로 실행되는 걸 본 적이 없다.

최근에 나온 프로젝트 중 loki installers for linux gamers, 줄여서 liflg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오픈소스로 공개된 loki_setup을 사용하여, loki_compat 라이브러리와 적절한 설치 스크립트를 하나로 묶어서 게임 인스톨러를 제작하였다. loki_compat 라이브러리를 수동 설치할 때와는 달리 지정한 경로 안에 알아서 압축까지 풀어 주고,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실행 스크립트도 알아서 만들어 준다. 그래서 이 방법을 사용하면 설치 및 실행 성공률도 상당히 높다. 심시티 3000 리눅스 버전은 인터넷에서 구하기가 쉽지 않고, 토렌트를 뒤져도 잘 나오지 않는다. 모종의 경로로 구해둔 게 있긴 하지만 괜히 업로드해 뒀다가 저작권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심시티 3000 리눅스 버전 iso 파일을 구했으면 인스톨러를 다운로드받는다. 베타라고 쓰여 있지만 잘 작동한다. 32비트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으면 넘어가고, 64비트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으면 미리 32비트 호환용 라이브러리를 설치해 둔다. 데비안 amd64 unstable에서 실험 결과 잘 작동한다.

다운로드가 끝났으면 구해 둔 iso 파일을 CD에 굽는다. 아직까지 loki_installer가 CD-ROM을 인식하는 건 잘하지, 루프백으로 마운트시켜 둔 CD 이미지를 인식하지는 못 하는 것 같다. 방법을 알고 있으면 제보 바란다. 그 다음 다운로드받은 인스톨러 파일에 실행 권한을 준다. Dolphin의 경우 오른쪽 클릭->속성->권한->실행 가능에 체크하면 된다. 그 다음 CD를 삽입하고 인스톨러를 실행시킨다. 일반 사용자로 실행시키면 자기 홈 디렉터리 아래, 루트로 실행시키면 /usr/local/games 아래에 설치한다. 첫 화면이 지나면 설치 경로와 구성 요소를 물어본다. 이 때 언어, Building Arcitect, 인트로 영상 설치 여부를 같이 물어오므로 필요하면 선택한다. 설치가 시작되면 CD에서 파일을 복사하고, 알아서 시작 메뉴 항목도 만들어 준다.

심시티 3000 설치 화면

심시티 3000 설치 화면

K 메뉴 항목

K 메뉴 항목

자 이제 시작 메뉴 항목을 통해서 심시티 3000을 실행시켜 보자. 첫 실행 시 해상도는 640×480이므로, 게임 옵션을 적절히 수정해야 한다. Geforce 8400M GS, 듀얼 모니터 환경에서 테스트해 본 결과, 1280×1024는 게임이 진행될수록 끊김 현상이 나오므로 1024×768이나 1152×864 해상도를 추천한다. 인터페이스, 도시 건설, 글꼴을 비롯한 모든 요소가 윈도용 심시티 3000과 동일하므로, 심지어는 치트키까지 똑같이 쓸 수 있다.

심시티 3000 시작 화면

심시티 3000 시작 화면

심시티 3000 게임 화면

심시티 3000 게임 화면

그러면 즐겜.

MMF 파일을 MIDI로 바꾸기

대부분의 국내 휴대폰들은 MMF라는 야마하에서 만든 벨소리 포맷을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 미디로 사용할 수도 있고 PCM을 그대로 집어넣을 수 있다. 국내 휴대폰 벨소리는 MMF로 통일되어 있는데, 일부 해외 휴대폰 및 스마트폰은 MMF를 지원하지 않는다. 어쩌면 노키아 휴대폰으로 갈아타면서 잃어버린 것 중 가장 큰 게 MMF 벨소리일지도 모른다. 다행히도 MMF를 지원하지 않는 휴대폰은 일반적인 MIDI는 대부분 지원한다.

MIDI나 음악 파일을 MMF로 만드는 방법은 국내에도 많이 소개되어 있지만 그 역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원음벨 MMF 파일은 PCM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MIDI로 절대 변환할 수 없다. MP3 등의 음악 파일이 ‘음 자체’를 저장한다면, MIDI는 ‘악보’를 저장한다.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 건 누구나 가능하지만, 흘러나오는 곡만 듣고 악보를 그려내는 사람은 신의 영역에 속한다. 따라서 원음벨은 같은 속성을 가지는 MP3 등으로 변환하는 게 좋으며, 미디벨은 MP3 등의 음악 파일로 바꾸기보다는 MIDI를 그대로 뽑아내는 게 용량대비 효율이 좋다. 녹음하는 뻘짓 할 필요가 없다.

MMF를 MIDI로 바꾸는 프로그램은 잘 나오지 않는다. 처음 찾아본 프로그램은 Mobile Music Polyphonic이었다. 과거 버전은 확장자만 바꾼 MMF 파일(ma2, ma3 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UI가 좀 불편해서, 최신 버전을 구해 봤더니 이건 완전 아이폰 전용으로 바뀌어 있어서 원하는 기능인 MIDI 추출은 테스트해 볼 수도 없었다. 좀 더 찾아봤더니 Plinksoft RingtoneComposer 역시 같은 기능을 한다. 아직까지 데모 버전의 제한이 무엇인지는 파악하지 못했지만, MMF->MID 변환 중 파일을 잘라먹지는 않는 것 같다. 그래서 비밀 댓글로 과자제보 받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여튼 처음 프로그램을 켜면 UI가 그다지 단순해 보이지는 않는다. 일단 File->Open SMAF File로 가서 MMF 파일을 하나 찍어서 열자. 원음벨이면 미디 트랙이 하나만 보이고 재생을 눌러도 아무 반응이 없으며, 미디벨이면 트랙이 여러 개 보인다. 원음벨은 MMF를 변환하기보다는 MP3과 같은 더 고음질 파일을 잘라서 쓰는 걸 추천한다. 아무튼 미리 들어보고 원하는 대로 소리가 나는지 확인해 보자. 소리가 제대로 나면 File->Save를 눌러서 미디로 저장한 다음 빠져나온다.

이제 원하는 방법을 써서 휴대폰에 미디 파일을 집어넣자. 기본 음악 재생기로도 재생되며, 프로필 메뉴에서 원하는 파일을 지정해 주면 벨소리로 쓸 수 있다. 이제 MMF 미디벨을 폰 바꿨다고 버리지 말자. 하지만 원음벨은 새로 구하는 게 더 낫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t/S60 베타로 프로그램 짜 보기

기존에 Qt로 프로그램을 짜 봤다면 Qt/S60을 쓸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흥분되는 일인지 알 수 있다. Qt/S60은 트롤텍이 노키아에 인수된 후부터 활발히 개발된 Qt 포트이다. 윈도, 맥 OS X, (임베디드) 리눅스 이외 기종으로 제일 처음 나온 포트는 윈도 모바일이지만, 노키아에 인수당한 이후 윈도 모바일용 Qt보다는 Qt/S60에 더 많은 신경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에모도 Qt로 전향할 예정인데다가, 든든한 데스크톱 우군 KDE가 버텨 주고 있어서 지금 안드로이드나 아이폰에 부화뇌동하느니 Qt 프로그래밍을 익혀 두는 것도 몸에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Qt의 모토는 Code Less, Create More, Deploy Anywhere다. 노키아 인수 전까지는 앞 두 마디만 사용했으며, 노키아가 Qt 로고를 현재처럼 바꾼 이후 Deploy Anywhere가 같이 추가되었다. 과연 Qt로 짠 소스 코드가 Deploy Anywhere가 될 수 있을지 한 번 실험해 보기로 했다. 일단 Qt/S60을 구해서 설치해 보자. 2009년 11월 현재 Qt 홈페이지 페인 화면에 Qt/S60 4.6.0 베타 링크가 걸려 있으므로, 일단 이거 SDK를 다운받아 두자. Qt/S60은 S60을 기반으로 움직이므로, 그 까다롭다는 S60 SDK도 같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Carbide.C++(IDE), S60v3 FP2 SDK, Open C/C++ 플러그인 삼대천왕을 설치하면 된다. 전부 한 덩치 하는 몸이라서 시간이 꽤 걸렸고, 이 순서대로 설치하지 않으면 미묘한 오류가 발생한다. 설치를 마음대로 했다가 3시간을 삽질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

그 다음 Qt/S60을 설치한다. 깔려 있는 SDK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에 맞는 Qt를 설치해 준다. 설치가 끝난 다음, Carbide.C++ 쪽 환경 변수를 먼저 등록한 다음 Qt/S60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해야 라이브러리 및 컴파일러 경로를 헤매지 않는다. 이것 때문에 1시간을 또 고생했다. 여기까지 잘 왔으면, Qt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켜서 demos나 examples 폴더로 이동한 다음, qmake-make를 실행시켜서 예제를 빌드해 보고, make run을 통해서 각각 예제를 실행시켜 본다. make 실행 시 기본 타겟은 debug-winscw로, 에뮬레이터를 통해 실행된다. make distclean을 실행시켜 줘야 에뮬레이터에서 흔적이 사라지므로 테스트 후 실행시켜주는 게 좋다. S60 SDK에 내장된 에뮬레이터는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한글 글꼴이 기본적으로 없다는 건 알아 두어야 한다.

S60 SDK 에뮬레이터

S60 SDK 에뮬레이터

정상 작동을 테스트해 보았으면 기존 Qt 프로그램을 포팅해 보자. QMake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라면 아무 무리 없이 Qt/S60으로 포팅 가능하다. 얼마든지 리눅스에서 Qt로 짰던 프로그램을 S60으로 ‘소스 한 줄 고치지 않고’ 포팅 가능하다. 심비안 플랫폼은 모든 실행 파일에 고유 UID가 붙는다. 이게 겹치면 시밤쾅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배포하려면 UID를 따야 한다. 돈 내는 건 없으므로 전문적으로 뭔가를 만들어 보려면 UID를 신청해 보자. 발급받은 UID가 있으면 .pro 파일에 UID를 적어 주고, 없으면 qmake가 테스트용 UID를 만들어 준다. make release-gcce를 내린 다음 make sis라는 명령을 내리면 sis 파일을 만든다. 테스트 인증서로 서명되었으므로, 실제 배포할 때는 인증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 외에도 약 10MB에 달하는 Qt 라이브러리 설치 문제도 신경써야 한다. 현재는 Qt/S60이 베타 단계라서 배포할 때 신경이 거슬리겠지만, 정식 릴리즈가 나온 다음에는 휴대폰 롬에 통합될 수도 있거나 용량이 더 적어질 수도 있다.

현재 Qt 4.6.0 베타는 S60에서 살짝은 껄끄럽게 돌아간다. S60v5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만 S60v3은 위젯을 돌아다닐 때 키패드를 사용해야 하며, 심비안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비해서 살짝 멈칫하는 게 느껴진다. FEP도 잘 붙어서 한글 입력도 무리없이 할 수 있다. 대부분의 UI 구성요소는 S60 테마를 그대로 따르므도 생긴 거의 이질감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Qt의 장점은 여기서 드러난다. 오늘 오후동안 짜 본 노래방 검색 프로그램을 휴대폰에서 한 번 돌려 보았다. Qt의 GUI와 SQL 부분을 사용한다. PyS60으로 짜려고 했으나, SQLite 모듈이 없어서 Qt의 SQLite 모듈을 사용하려고 Qt를 사용했다. 아직까지 휴대폰에서 좀 동작이 끊기는 감이 없잖아 있지만, 아직 Qt/S60은 베타 단계이기 때문에 정식 릴리즈가 되면 더 빨라질 가능성이 열려 있다.

Qt/S60 테스트 프로그램

Qt/S60 테스트 프로그램. 한글 입출력도 원활하다.

메뉴, 위젯 모두 이질감이 적다.

메뉴, 위젯 모두 이질감이 적다.

기존에 Qt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봤으면 복잡한 S60 C/C++를 배우지 않고도 S60 휴대폰에 프로그램을 바로 올릴 수 있으므로, 뭔가 만들어보고 싶으면 과감하게 도전해 보자.

ps. 노래방 검색 프로그램은 아직 개발 중이며, 역시 아직 개발 중인 Qt/S60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Qt/S60이 정식 출시되는 대로 공개할 예정이다.

데비안, GRUB 2, intelfb

리눅스 커널 소스 트리를 뒤지다 보면 두 종류의 비디오 드라이버를 찾을 수 있다. 하나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그래픽 드라이버인 DRI 드라이버이고, 또 다른 하나는 프레임버퍼 드라이버이다. 전자는 X.org 하에서의 2D/3D 가속 등을 담당하며, 후자는 X.org가 뜨기 전까지, 흔히 콘솔이라고 말하는 영역에서 그래픽 처리를 담당한다. 프레임버퍼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 과거 도스 시절에나 볼 수 있었던 콘솔이 뜨지만, 프레임버퍼를 사용하면 해상도도 높아지고, mplayer를 사용하여 동영상도 볼 수 있다. 부팅 스플래시도 이렇게 처리한다.

GRUB 1에서 리눅스 프레임버퍼를 사용하려면 커널 옵션으로 vga=xxx 또는 video=xxx를 추가해 줘야 했다. vga=xxx 옵션을 추가하면 하드웨어 가속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vesafb를 불러온다. vesafb는 이름처럼 표준적인 기능만 제공해서 VESA 표준이 아닌 해상도(와이드 포함)를 사용하려면 하드웨어 정보를 들여다봐서 모드 값을 알아내야 했다. 이외의 다른 프레임버퍼 드라이버를 사용하려면 video=(프레임버퍼 드라이버) 식으로 지정해 주면 된다.

GRUB 2로 진화하면서 GRUB 구조가 완전히 바뀌면서 프레임버퍼 설정 방법도 바뀌었다. 더 이상 menu.lst 파일의 주석에 정보를 숨기지 않고, 모듈화된 설정 파일로 바뀌었다. 프레임버퍼 설정 역시  GRUB 1에서 썼던 것처럼 vga=xxx라는 커널 옵션을 줘도 커널은 이 옵션을 적절히 무시한다. 그리고 해상도를 지정하기 위해서 암호같은 모드 값을 외울 필요도 없어졌다. 데비안 기준, /etc/default/grub 파일을 수정해 주면 게임이 끝난다. 처음 파일을 열어 보면 다음과 비슷할 것이다.

# If you change this file, run 'update-grub' afterwards to update
# /boot/grub/grub.cfg.

GRUB_DEFAULT=0
GRUB_TIMEOUT=5
GRUB_DISTRIBUTOR=`lsb_release -i -s 2> /dev/null || echo Debian`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GRUB_CMDLINE_LINUX=""

# Uncomment to disable graphical terminal (grub-pc only)
#GRUB_TERMINAL=console

# The resolution used on graphical terminal
# note that you can use only modes which your graphic card supports via VBE
# you can see them in real GRUB with the command `vbeinfo'
GRUB_GFXMODE=1280x800
# Uncomment if you don't want GRUB to pass "root=UUID=xxx" parameter to Linux
#GRUB_DISABLE_LINUX_UUID=true
# Uncomment to disable generation of recovery mode menu entrys
#GRUB_DISABLE_LINUX_RECOVERY="true"

보이는 것처럼 menu.lst 파일의 주석 대신 환경 변수를 사용한다. 그래픽 모드를 사용하려면 GRUB_GFXMODE의 주석을 풀고 원하는 해상도 및 색 농도로 설정해 주면 된다. 1024×768의 32비트를 사용하려면 1024x768x32로 입력해 주면 된다. 설정을 업데이트했으면 update-grub 명령을 내려서 실제 grub.cfg 파일에 반영시키면 된다. 다음 부팅 때부터 GRUB은 그래픽 모드에서 실행되며, GRUB에서 설정된 해상도가 리눅스 프레임버퍼까지 간다. 이 과정에서 vesafb 모듈이 자동으로 올라가며, video=xxxxx 옵션을 주면 선택한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내 서브노트북 Q10을 업어오면서, 원래 계획은 intelfb 드라이버를 올려서 X11 없는 GUI 사용이었다. 인텔 830M 그래픽은 분명히 intelfb 드라이버의 지원 목록에 있었다. 하지만 intelfb 드라이버는 유명한 에러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정작 뚜렷한 해결책도 없었기 때문에 X11을 그냥 올렸고 KDE를 설치했다. intelfb 드라이버의 문제는 다음 문단에 설명한다.

대개의 프레임버퍼 드라이버는 video 옵션만 지정해 주면 되는데, intelfb 드라이버, 특히 노트북에서 사용하려면 상당히 머리가 아프다. GRUB에서 그래픽 환경 설정을 하지 않고 보통의 프레임버퍼 드라이버처럼 video=intel:mode=1024×768 식으로 해상도를 지정해 주면 노트북 사용자들을 좌절하게 만드는 “intelfb: Video mode must be programmed at boot time” 오류가 뜬다. vga=xxx 옵션을 같이 줘 놓으면 비디오 모드는 제대로 찾는데, 이제는 vesafb와 순위 쟁탈전을 벌이면서 “intelfb: cannot acquire agp”나 “intelfb: Cannot reserve FB region” 같은 오류가 뜨면서 기대하던 인텔 프레임버퍼가 뜨지 않는다.

원인을 계속 찾다 보니, 데비안 커널에 내장된 vesafb가 원인이었다. 커널 컴파일을 새로 하면서 vesafb를 빼 버리고, initramfs를 만들면서 intel_agp, agpgart, intelfb 모듈을 추가시켜 줬다. 어차피 프레임버퍼에 관심을 가질 정도로 리눅스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커널 컴파일이 무엇인지는 알 테니, 여기에서 방법은 생략하겠다. 어떻게 컴파일을 하든, vesafb를 빼고 intelfb를 포함해서 컴파일해야 한다. 내 경우, 서브의 사양이 심각하게 안 좋아서 대부분의 안 쓰는 모듈을 과감하게 빼고 컴파일했다.

커널 컴파일과 initramfs 생성이 끝난 다음, GRUB 설정을 수정해서 video=intelfb 옵션을 추가해 주었다. 반신반의했지만 성공했다. 비디오 모드를 바꿀 수 없다는 경고 메시지가 지나갔지만, 프레임버퍼 정보를 보니 인텔 프레임버퍼를 정확하게 잡아 주었다. 여기까지 왔다면 프레임버퍼를 사용하는 리눅스 프로그램은 무엇이든지 쓸 수 있다. mplayer를 사용해서 영화를 볼 수도 있고, fim으로 그림을 보거나 w3m-img를 설치해서 그림까지 보면서 웹을 즐길 수 있다. fbgrab을 설치하면 프레임버퍼의 스크린샷을 찍을 수 있고, gpm을 설치하면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는 부팅 동영상과 실제 인텔 프레임버퍼를 사용한다는 걸 보여 주는 명령들이다.


데비안 intelfb

데비안 intelfb

요약하면, 데비안을 사용하는 노트북에서 intelfb를 제대로 쓰려면 커널을 다시 컴파일해야 한다. 이 때 기본 내장된 vesafb 옵션을 끄지 않으면 서로간의 충돌 때문에 intelfb가 올라오지 않는다. 커널을 새로 설치한 다음, GRUB 설정 파일을 편집해서 원하는 해상도를 설정하고, 리눅스 커널 인자에 video=intelfb를 추가해서 인텔 프레임버퍼를 사용하게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