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peremen

mentest86+와 방 온도와의 관계

며칠 전 일이다. 방의 습도가 너무 눅눅해서 컴퓨터를 통해서 습도를 줄여 보기로 했다. 우분투를 깔게 되면서 같이 깔렸지만 그 동안 쓸 일이 없었던 Memtest86+를 이용해서 내 컴퓨터를 번-인 시켜 보기로 했다.
우선, 실험을 하기로 한 날의 습도는 90%정도 되는 것 같았다. 일기예보를 볼 수 있는 통로가 집 안에서는 모두 블록(!)되었기 때문이다. 밖에는 비가 오고 있었고 창문은 모두 열려 있었기 때문에 내 맘대로 추정해서 쓴다. 그리고 오전 9시 30분경, 컴퓨터를 켜고 Memtest86+를 가동시켰다.

그런데? 컴퓨터를 켜자마자는 메모리와 시퓨가 가열되지 않는다는 격언을 무시했다는 것이 내 실수였다. 당시 컴퓨터는 작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식어 있었고 그 녀석을 예열하기 위해서 또 다른 에너지가 필요한 것이었다! 30분을 겨우 돌렸을 때. 그 때서야 팬이 돌아갔다. 무심한 내 노트북은 그제서야 한 바퀴를 돌았다.

그런데 팬을 가동시켜도 방의 습도는 줄지 않는다! 사실, 노트북의 팬 구조상 제습을 시켜 줄 무언가가 없었다는 것을 내가 간과한 모양이었다. 따라서 방 안의 습도를 줄이기 위해서 Memtest86+를 돌리려는 내 생각은 부질없었다.

이상.

내가 재작년 8월에 썼던 글이다. 그렇지만 이 격언을 요즘 들어서 다시 써 보고 싶어지는 생각이 든다. 일단 노트북의 열은 상당히 심각하고, 그 열을 뽑아 주기 위해서 노트북의 팬은 한시도 쉬지 않고 돌아간다. 3월 중순인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날씨가 추워서 노트북을 켜고 살 수 밖에 없다. 이 때 베릴을 켜주면 아주 온도가 잘 올라간다.

memtest86+란 것을 다시 써 보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주위 친구들에게 우분투를 많이 뿌리면서 memtest86+도 덤으로 깔렸다. 이 녀석이 가열시킨 노트북도 꽤 많을 텐데, 돌리다 보면 다들 다 뜨거움을 호소한다고 한다. 역시 memtest86+는 방 온도를 올리기 좋고, 그리고 다른 무거운 프로그램들을 노트북에서 돌리면 방 온도를 올리기 좋다. 허리 찜질 팩으로는 쓰기 좋지만, 전기 매트는 무리란 것도 기억할 것.

Breaktor Calculus

심심해서 집에서 가져온 Vector Calculus 책이나 학교에서 보고 있다. 학교에서 쓰는 것이 아마 Marsden-Tromba책의 5판이라고 알고 있는데, 내 책은 4판이다. 4판과 5판의 표지 그림은 딱 차이가 나서 알아보기가 쉽다. 아마 5판 그림은 뭔가 초상화스런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4판은 그에 비하면 밋밋하다. 그런데 내용의 차이는 뭐가 뭔지 모르겠다에 한표.

모든 책이 다 그렇듯 1단원은 쉽다. 뭐 선과 면을 벡터로 어떻게 표현하고 벡터의 내적과 외적이 무엇이며 기타등등등등 잡것들이다. 과연 책이 얼마나 재밌을지 모르겠지만, 이번 학기 미적3 거의 독학한 거라고 봐도 되겠군.

(사진은 나중에)

사랑니 제거

어제 오후에 있었던 수업 모두 다 째버리고 치과에서 사랑니를 빼고 왔다. 방학 중에 모 치과에서 X선 검사를 받아 보았는데, 사랑니 중 하나가 누워서 자라면서 한 쪽 어금니를 압박하고 있었고, 또한 그 사랑니를 잘못 뽑으면 신경을 건드릴 수도 있다고 하여 큰 병원에서 뽑아 보라고 했다. 하여간 그 때부터 뭔가 일이 좀 재미있어지는 것 같았다. 학기 초에는 이에 대해서 문제가 없었다.

치과 진료 일자가 오늘로 잡히고, 거기서 다시 X선 검사를 받아 보았다. 사랑니의 뿌리가 아직까지 신경을 압박할 위치에 있는 것은 아니라서 빨리 뽑아 버리면 신경에는 별다른 장애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일단 가장 중요한 것은 이가 하나 누워 있어서, 이것을 제거하는 것이 그다지 쉽지 않을 것이었다. 이 제거는 금방 끝났지만, 그 다음 일이 문제였다.

집에 돌아와서, 한동안 얼음찜질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피는 계속 나왔다. 피가 나오는 것은 한 3시간 정도 지나서야 멎었다. 그리고 이 쪽의 뭔가 이상한 기분으로 인해서 아무 것도 씹을 수가 없었다. 한 숨 자다가 학교로 왔는데, 학교에 와서도 뭔가 씹는다는 것 자체가 아팠다. 지금은 좀 괜찮아졌을라나 모르겠다.

그리고 앞으로 1개월간 뽑은 자리를 관리해 주어야 한다. 소금물로 소독을 해 주고, 당분간은 이에 자극이 가는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되었다. 비록 얼굴이 붓기는 했지만, 신경에 위협이 되는 것을 하나 제거했다니 안심이 된다. 그나저나 얼굴 좀 돌아와라!

Kubuntu Feisty에서 알 수 없는 고장이 생길 때

증상:

  1. 파폭으로는 인터넷이 되는데 Konqueror로는 인터넷이 거부된다.
  2. 2) KDE 프로그램들(ex. aKregator) 등에서 인터넷 접속을 거부한다.
  3. 3) Amarok에서 last.fm 접속을 거부한다.

그래서 kde 설정 파일들을 지우는 별 짓도 다 해 봤지만… 문제의 원흉은 다른 데 있었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p=2236354에 의하면 KNetworkManager가 그 악흉이라고 한다. KNM은 유동 IP 환경에서는 엄청나게 유용한 툴이지만 나 같은 고정 IP 환경에서는 그냥 쓰레기다. 그래서 그 녀석을 끄니 이제는 거부 반응이 없어진다.
그 증거는 밑에 있는 last.fm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보면 된다. 그리고 이제는 Kopete도 다시 작동하고, aKregator도 피드를 다시 잘 읽어 온다. 빨리 우분투의 KNM이 안정화되어야 하는데.

윈도없이 학교에서 버텨보기

(으음 이번 글부터 말투를 원상 복귀합니다. 이유는 몰라도돼!)
시게이트 하드를 산 이후, 윈도로 들어가는 일이 줄어들었다. 최근에 우분투 페이스티를 설치하면서 커널과 libusb 문제 때문인지 몰라도 libw2100이 작동하지 않았다. 또 다른 커널 패치나 libw2100 자체의 소스 변경을 기다리면서 좀 ㄹ스럽게 놀고 있다. 일단 학교에서 짜즈잉 나게 올리는 각종 한글 파일은 리눅스용 한글 2005+비공식 개인적 패치로 매일같이 60일로 놀고 있다. (검색은 알아서) 그리고 개인적인 문서 작성은 완전히 OOO로 하기로 했다.
그 외에도 리눅스로 전환하면서 얻은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가 있다. 파폭/썬더버드는 윈도에서도 같은 프로그램을 쓸 수 있고, 그 다음으로는 푸바를 아마록으로 대체한 것이다. 이 둘이 완전히 동등하지는 않지만, 아마록을 개인적으로 좋아하기 때문에 후회는 안 한다. 그리고 VS는 KDevelop으로 대체하고, 각종 메신저는 gaim/kopete로 대체해 버렸다. 이 정도까지만 해도 윈도에서 쓰던 것의 한 90% 정도는 그대로 쓸 수 있었다.
다행히도 간단한 윈도 프로그램들은 wine에서 예전보다는 잘 돌아가고, wine을 써야 하는 것이 APE 변환 프로그램과 PuTTY(리눅스용은 윈도용보다 UI가 조악) 정도 밖에는 없다.
간단히 리눅스 데스크탑 스샷 한장만 첨부해 본다.
리눅스 데스크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