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목을 그어서 죽어본다는 것
심장이 터져서 죽는다는 것
독극물과 함께 자살하는 것
창조관 8층에서 떨어진다는 것
……
이제 이 모든 상상을 그만 할 때도 안 되었나.
팔목을 그어서 죽어본다는 것
심장이 터져서 죽는다는 것
독극물과 함께 자살하는 것
창조관 8층에서 떨어진다는 것
……
이제 이 모든 상상을 그만 할 때도 안 되었나.
Amarok의 일부 버전에서는 moodba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oodbar는 파일에 특정한 분석을 해서 파일의 분위기라는 것을 만들어 줍니다. Amarok에서 이것을 사용하면 파일의 분위기를 보여줄 수 있으며, 그 형태가 꽤 아름답습니다. 제가 빌드를 해 보았지만, 제가 좋아하는 flac 파일에서 moodbar가 작동하지 않아서 바이너리를 깔려고 했습니다.그런데 우분투 엣찌 저장소에는 이것이 없기 때문에 별 수 없이 쪽바리들의 저장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빨리 공식 리포에 올라가야 하는데.
## nlp – for Amarok moodbar
deb http://cl.naist.jp/~eric-n/ubuntu-nlp edgy misc
deb-src http://cl.naist.jp/~eric-n/ubuntu-nlp edgy misc
이것을 /etc/apt/sources.list에 추가시키고 sudo apt-get install amarok-moodbar로 설치합니다. 그러면 아마록 환경 설정에서 분위기 사용 메뉴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당히 알아서 설정하시면 분위기가 생깁니다.
자 아름답죠? 뭔가 좀 간지나는 것을 보고 싶은 분이나 여성들에게 권하고 싶습니다.
libw2100의 소스 코드 중 극히 일부인 전화번호부 빼내오기 소스입니다. 그런데, 지금부터는 XML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SyncML을 다루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지금 제 목적에 적합한 XML 파서가 없기 때문에 별 수 없이 조그마한 XML 파서를 사용해야겠네요. 삼성의 엔지니어들이 과연 어떤 XML 파서를 사용했는지는 strings, objdump 명령으로도 알 듯 말 듯한 일입니다.
ps. 경희누나 생일 축하.
노트북에 삼성 80GB 하드가 심각하게 딸깍딸깍거려서 결국 세뱃돈을 가지고 시게이트 5400.3 120GB를 질렀습니다. 하드 디스크 사진은 다X와 같은 데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삼성 120GB와 갈등했는데, 가격이 조금 더 싸다는 이유로 결국 시게이트 120GB로 왔습니다. 노트북에 있던 80GB는 이제 외장으로 쫓겨났습니다.
기존의 쿠분투 6.10 시스템을 재설정하기 귀찮아서 라이브 CD로 부팅한 다음 cp -Rp 명령으로 그냥 한방에 복사해 버렸습니다. 그리고 /etc/fstab, /boot/grob/menu.lst 파일만 몇 개 손봐 주고 /home을 별도의 75GB XFS(!) 파티션으로 잘라 버렸습니다. 처음에는 /home도 ext3으로 잡았지만, 데이터가 없는데 사용 중인 공간이 3GB라고 하는 등 오버헤드가 심각하게 커서 XFS로 가는 모험을 단행했습니다. 그리고 스왑 2GB, 나머지는 윈도 XP 파티션입니다.
과연 XFS가 얼마만큼 빠를지, 그리고 리눅스를 주로 사용하는 환경이 얼마나 안 삐걱거릴지 기대해야겠습니다.
ㄹㄹ ㄹ ㄹㄹㄹ ㄹㄹㄹㄹㄹ ㄹ ㄹㄹㄹㄹㄹㄹ ㄹㄹㄹㄹㄹ ㄹㄹ ㄹㄹㄹㄹㄹㄹㄹ ㄹㄹㄹ ㄹㄹㄹㄹㄹ ㄹ ㄹㄹㄹㄹㄹㄹㄹ! ㄹㄹㄹㄹㄹㄹ ㄹㄹㄹㄹ ㄹㄹㄹ ㄹㄹ ㄹㄹㄹㄹ ㄹㄹㄹ ㄹㄹㄹㄹ ㄹㄹㄹㄹ ㄹㄹㄹㄹㄹㄹㄹㄹㄹ ㄹㄹㄹ ㄹㄹㄹ ㄹㄹㄹ ㄹㄹㄹ ㄹㄹㄹ ㄹㄹㄹㄹ ㄹㄹㄹㄹ ㄹㄹㄹ. ㄹㄹ ㄹㄹㄹ ㄹ ㄹㄹㄹㄹ ㄹㄹ ㄹㄹㄹㄹ, ㄹㄹㄹ ㄹㄹ ㄹㄹㄹㄹ ㄹㄹㄹㄹ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