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삽질

펜티엄 2

요즘 세상에 펜티엄 2는 공짜로 줘도 가져갈 사람이 없다. 그. 런. 데. peremen.name 메인 서버가 최근 펜티엄 2로 이전했다. 이 컴퓨터에 리눅스 서버를 깔기 위해서 내가 어떤 삽질을 했는가 차근차근 설명해 보겠다.

우선 우분투 네트워크 설치 이미지를 준비한다. 대부분 펜티엄 2 시절의 컴퓨터라면 CD롬 부팅은 되는데, USB 부팅은 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이 시대의 컴퓨터 CD에서 읽느니 빠른 네트워크가 더 나을 것이다. 하여간 우분투 네트워크 설치를 하려면 파일 두 개만 있으면 된다. 추천하는 방법은 미리 하드디스크를 빼내서 GRUB을 설치하고, 파일 두 개만 복사한 다음 부트스트래핑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 있는 linux와 initrd.gz 파일을 받아서 하드디스크에 미리 복사해 둔다. 아키텍처와 배포판 종류에 따라서 경로를 잘 바꿔 주면 되고, 저것은 Gutsy/i386 기준이다.

비록 tasksel이 있긴 하지만, 일단 베이스 시스템만 설치했다. 이것이 서버실에 있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펜티엄 2 정도의 사양에서는 진행 표시줄 올라가는 것이 지겹기 때문에, 가상 콘솔 4번(Ctrl+Alt+F4)을 누르고 설치 진행 상황을 보는 것이 좀 덜 지겨울 것이다. 우분투 7.10부터 추가된, 무슨 라이브러리를 깔 때마다 추가되는 libc6의 ldconfig 업데이트 트리거가 엄청 짜증나고 답답할 것이다. 과연 8.04에서는 어떻게 해결할까 기대된다.

그 다음 사뿐히 재부팅해 준다. openssh-server만 깔고 모든 작업은 원격으로 하면 된다. 서버실에 앉아서 속 터지게 진행 표시줄 올라가는 것을 보느니 멀리 방에서 해 두고 지켜보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그래도 GNU Screen이라는 비기가 있다. Screen에 작업을 걸어 둔 다음, 떼내 두고 나가면 다음에 로그인 할 때에도 잘 뜬다.

하여간 완성작 펜티엄 2 서버의 시스템 정보는 잘 찾아 보면 있다. phpSysinfo가 저사양이라 그런지 시스템 정보 하나 만들어내는 데에도 막 15초씩 걸려서 링크는 생략한다. 우리 존재 화이팅.

최근 컴퓨터 상황

엔터키 지못미

엔터키 지못미

드디어 노트북 엔터 키도 떨어져 나가 버렸다. 이거 5월까지 M40으로 버티다가 노트북을 바꾸려는 계획을 포기해야 할 것 같다.

새 중고 컴퓨터 1

새 중고 컴퓨터 1


새 중고 컴퓨터 2

새 중고 컴퓨터 2

훈킴 선생님의 서버 소식이 없어서 일단 임시용으로 내 서버를 만들기로 했다. 우선 슬림케이스 하나를 사고 아라에서 2만원 하는 중고 펜티엄 3과 지인의 펜티엄 2를 업어와서 부품을 섞은 결과 컴 두 대가 탄생했다. 하나는 펜티엄 3 650, 768MB 램, 40기가 하드고 또 다른 하나는 펜티엄 2 333, 256MB 램, 15기가 하드이다. 처음에 펜티엄 3 컴퓨터가 2만원이길래 비싼 거 아니냐고 생각했지만 메인보드가 한 때의 명품이었던 아수스 P3B-F. 땡잡았네요 ㄱㅅ.

V43 spin me right now

이제 보니 순삼이 사전도 쓸모가 있었군요. 디큐 ㄱㅅ. 그리고 파이썬과 PyQt에게도 ㄱㅅ. 파일은 GPL v2 이후로 배포하며, 파이썬과 PyQt를 설치해야 합니다. DB는 알아서 찾으십쇼.

영한사전

영한사전


한영사전

한영사전


fk040000000037.zip

Google Browser Sync에 관한 놀라운 사실

나는 리눅스와 윈도의 파폭 책갈피를 동기화시키기 위해서, Google Browser Sync라는 확장 기능을 사용한다. 비록 파폭에서만 동작한다는 한계가 있지만 나는 나름대로 만족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 날. 하드디스크가 125MB밖에 남지 않는 난감한 사태가 오는 바람에 Filelight를 켜고 디스크에서 어떤 부분이 공간을 많이 잡아먹는지 탐사하고 있었다. 다른 것들은 예상대로인데, .mozilla 폴더가 1.7GB를 먹고 있었다. 어라?

들어가 보았다. 내 프로필까지 가 보았다. 어라? browserstate-logs 폴더? 의심이 가서 열어 보니까 Google Browser Sync가 남기고 있는 파일이었다. 나는 이 파일들이 왠지 수상해서, 한 번 정체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았다. 일단 그 파일들의 용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부터 확인해 보았다.

psj@cluster-0:~/.mozilla/firefox/uyh1wxlr.default/browserstate-logs$ ls -lah
합계 293M
drwx——  2 psj psj 4.0K 2007-12-12 11:47 .
drwx—— 10 psj psj 4.0K 2007-12-12 11:47 ..
…. 중간 생략 ….
-rw-r–r–  1 psj psj 208M 2007-12-11 20:49 log-20071211-171756-507.txt
…. 중간 생략 ….

이것은 최근 다시 출력을 얻은 것으로, 하드디스크 정리할 때만 해도 400MB 이상의 파일이 있었다. 그런데 어라라? 어라라? 왜 파일 하나가 수백 MB씩 잡아먹지? 의아해하고 있었다. 아니 책갈피 데이터가 수백 MB를 차지할 이유가 없는데… 하면서 파일들은 열어 보았다. 그랬더니… 자바스크립트 콘솔의 오류 정보, 브라우저 히스토리, 등등등의 기록을 엄청 공간 낭비가 심해 보이는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었다. 덜덜덜.

그래서 미련없이 그 파일들을 다 지워 주니 디스크 공간이 많이 빠졌다. 넵 구글 무섭군요. 책갈피 동기화를 위한 도구를 바꿔야겠습니다.

번역 슬럼프

오늘자 KDE 4 번역 상태.

오늘자 KDE 4 번역 상태. 전번에는 5000까지 갔는데...

요즘 힘이 없어서 KDE 4 번역도 전만큼 의욕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 카이스트 1차 발표가 오늘 났는데다가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흉흉한 소문들. 그 덕분에 요즘에는 무언가를 손에 잡기도 싫어졌다. 그러나 마지막 중간고사가 다가오고 있고, 성균관대 면접(20일) – 중간고사(22~25일) – 정보과학회 발표(26일) – 리츠메이칸(29일~11월 5일) – SAC(11월 7일~10일)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그 이전에 무언가를 해 두고도 싶다.

사실 KDE 4 번역 작업이 멈춘 것처럼 보인 이유는 이제 간단한 번역 작업은 다 끝났기 때문이다. HSL에 있었던 소스 파일들을 가져오는 작업도 진행 중이긴 하지만, KDE 4에만 있는 KWin의 컴포지팅 같은 부분들 같은 경우에는 새로 번역해야 한다. 또한 긴 옵션들 중에서도 번역이 안 된 것이 너무 많기 때문에 번역자는 쓰러져 가고 있다. 다행히도 오늘 Konqueror의 HTML 보기 설정 부분을 다 끝냈고 이제 좀 만만한 것들만 남기 시작했다.

가장 큰 이유는 오늘 아침에 받은 VirtualBox 1.5.2 버전이 나오니깐 문자열을 정비해 달라는 안내 메일을 받고 나서였다. 그것 덕분에 충격을 받고 그 동안 너무 방치해 왔던 번역을 다시 가다듬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낮 시간 동안 버닝해서 파일 하나를 접수하고 밤 쯤에 몇 개 더 정비해서 커밋할까 생각하고 있다.

어쨌든 KDE 4 가 나오기 전까지 목표 40%는 꼭 달성하고 말 것이다. 그 이전에 중간고사나 어떻게 끝내 주기를… 라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