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peremen

노키아 배터리용 24핀 충전 거치대 제작 – 준비 및 기본 지식

내게는 노키아 배터리가 4개나 있다. 2개는 6210(BL-5F), 다른 2개는 N810(BP-4L)용이다. 둘 다 배터리 충전용 거치대가 없기 때문에 배터리를 서로 바꿔서 충전하는 수고를 매번 하고 있다. 이미 노키아 까페 등지에서 24핀 충전 거치대를 개조한 사람도 있고, 서드파티 충전 거치대를 파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기성품 거치대 중에서 내 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건 없었다. BL-5F와 BP-4L 둘 다 충전할 수 있는, 24핀 입력을 받는 거치대가 필요했다.

TTA 24핀 규격에 따르면, 충전 회로가 내장되지 않은 휴대폰은 1, 21, 22번 핀, 충전 회로가 내장된 휴대폰은 4, 5번 핀을 사용하며 접지 핀으로 12, 19번 핀을 사용한다. 대부분 시장에 풀린 충전기는 1, 12, 19, 21, 22번 핀을 사용하며, 휴대폰들 역시 충전 회로를 충전기에 넘기면서 4, 5번 핀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충전 거치대 역시 회로는 1, 12, 19, 21, 22번으로 연결되어 있고, 뜯어 봐도 별다른 조정 회로 없이 배터리를 바로 연결시킨다. 충전 회로를 내장시킨 충전기 보급 탓인지, 20핀 규격이 되면서 충전 회로 내장형 휴대폰을 위한 전원 공급이 삭제되었다. 아주 오래 전에 썼던 LG-LC8000은 충전 회로가 내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내장 AC 어댑터를 들여다보면 4, 5번 핀만 연결되어 있었다. 표준형 충전기로 충전이야 할 수 있었지만 충전 인식이 되지 않았고 충전 자체도 잘 되지 않았다. 전압 0.8V 차이가 이런 걸 만들어낸다. 충전기 전압이나 전류가 중요하지 않다는 사람들 어디 가셨나.

TTA 충전기의 충전 관련 부분.

TTA 충전기의 충전 관련 부분. TTAS.KO.06-0028/R2에서 발췌.

이론적인 설명은 이쯤에서 줄이고 직접 사진으로 충전 단자 차이를 보자. 필요한 설명은 아래 사진에 다 되어 있다. LG-xC8000 어댑터 출력은 5V/2A, 일반 TTA 충전기 어댑터 출력은 4.2V/750(일부 900)mA, 노키아 충전기 어댑터 출력은 5V/890mA이다. 배터리 충전 거치대를 만들기 위해서 일반 충전기 핀 배열을 참조할 것이다. 노키아용 24핀 젠더를 만들고 싶다면, 일단 4.2V를 5V로 올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과학 시간에 졸지 않았다면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무엇인지는 알 것이고,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오고, 모든 전압/전류 변환에는 손실이 생긴다는 것도 알 것이다. 노키아 어댑터에 필요한 전력은 5*0.89 = 4.45W, TTA 24핀 충전기에서 끌어낼 수 있는 전력은 4.2*0.75=3.15W이다. DC 변환 IC를 통과했을 때 손실을 감안하면 전력 부족으로 제대로 충전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각종 충전기 핀 출력 비교

각종 충전기 핀 출력 비교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뛰어넘고, 전력 부족으로 제대로 충전이 안 되는 걸 극복하고 노키아용 24핀 젠더를 굳이 만들겠다면, 2mm 충전 단자 스펙TTAS-KO-06.0030을 읽어보자. 2mm 충전 단자 스펙 3.1절에는 고정전류 충전기, 4.1절에는 태양전지나 수동 발전기 같은 가변전류 충전기에서 허용되는 전압/전류 값이 나와 있다. TTA 충전기 스펙에서 정하는 4.15~4.23V/450~900mA는 3.1절과 4.1절 모두에서 허용하는 값이다. 4.2절에는 가변전류 충전기에서 나오는 전압이 4.65V 이상이 되지 않으면 충전이 시작되지 않는다고 나와 있다. 충전을 시작하기 위해서 충전기 판별을 할 때, 1~2mA 전류가 흐를 때 충전기 전압을 확인한다. 4.65~5.2V면 가변전류 충전기, 5.5~9.3V면 고정전류 충전기, 이 범위 외의 값이면 불량으로 판정한다. TTA 스펙에는 V/I 곡선이 나타나 있지 않아서 1:1로 비교할 수는 없지만, 노키아 충전기에 들어가는 전압이 TTA 충전기보다는 높으며, 전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미 애플 아이팟/아이폰용 24핀 젠더는 시중에 출시되어 있고, 내부적으로 4.2V를 5V로 승압해서 출력한다. 하지만 이것도 간혹 인식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노키아 2mm 충전 단자는 5V보다 전압을 높여야 한다. 자연스럽게 공급 가능한 전류의 양은 떨어지고 충전 속도도 느려진다. 여기다가 인식 문제도 추가하면 답이 없다.

이런 문제 때문에 나는 노키아 휴대폰으로 갈아타자마자 24핀 충전기를 모두 집에 놔뒀고, 노키아 충전기 하나로 폰 2개를 같이 충전해서 쓴다. 다음 문단으로 넘어가기 전에 강조 하나만 하자면, 24핀 충전기 그 자체는 매우 좋다. 좀 더 범용적으로 개조해서 아무 리튬이온 배터리나 충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이미 가능하다. 이걸 가지고 노키아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건 전기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 충전기를 가지고, 충전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기기의 배터리 충전용 전원 공급을 시도하는 건 전기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충전 회로 내장형 기기를 위한 전원 공급은 24핀 단자 스펙에는 명시되어 있지만 20핀으로 오면서 빠졌다. 어떻게 저떻게 젠더를 만들 수는 있겠지만, 노키아가 굳이 이 일에 손을 댈 필요가 있는 건 절대 아니다. 젠더 찾는 사람들은 아쉽지만 포기하는 게 좋다.

배터리 충전 거치대 제작 계획으로 돌아가자. 노키아 배터리의 접촉 단자는 총 3개 달려 있다. 각각 V, GND, BSI이다. V와 GND에서는 전압이 나온다. BSI는 배터리 용량 및 온도 센서이자, 온도가 증가하면 작아지는 가변 저항이다. 과거에는 니켈계 배터리와 리튬계 배터리가 혼용되었기 때문에 BSI 핀이 배터리 용량, BTEMP 핀으로 온도를 파악했지만 현재는 이 둘이 합쳐져 있다. BSI 핀과 GND 사이의 상온에서의 저항은 배터리마다 다르다. BL-5F는 27㏀, BP-4L은 120㏀ 값이 찍혔다. 다른 노키아 배터리는 어떨까 찾아 보았지만 잘 안 보인다. 상온에서 BSI를 측정하려면 아무 표시도 안 되어 있는 극과 -극 사이 저항을 멀티테스터로 재면 된다. BSI 핀의 저항이 급격하게 변화하면 배터리 문제로 파악하고 휴대폰이 켜지거나 충전이 시작되지 않는다.

국내 휴대폰 배터리의 접촉 단자는 V, GND, BID이다. 노키아 배터리의 BSI 단자를 멀티 테스터로 찍어 보면 저항처럼 보이고, 처음에는 나도 저항인 줄 알았다. 주위에 있는 삼성 휴대폰 배터리를 찍어 보니 4.7㏀, 에버 배터리 하나는 1.5㏀이 나왔다. TTA 스펙의 BID에 따르면, 27㏀/4.7㏀/1.5㏀에 따라서 충전 전류가 450/750/900mA로 달라진다. BL-5F 배터리의 BSI 값 27㏀은 순전히 우연이다. TTA 스펙에 의해서 충전 전류도 450mA밖에 못 뽑아내기 때문에 충전 시간도 느린 게 당연하다. BP-4L 배터리를 그대로 연결시켰다면 저항값이 안 나와서 충전이 되지 않았거나, 되긴 하는데 뭔가 이상했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한 서드파티 충전기 제작자의 홈페이지에는 “배터리가 삽입된 것처럼 보이게” 한다고 쓰여 있다.

사전 조사는 이 정도로 끝내고, 언제 한 번 서면 근처에 나가서 24핀 커넥터와 만능 기판, 4.7㏀ 저항을 사 와서 제작에 들어가야겠다. 노키아 배터리와 연결되는 단자 부분은 SPH-W2100 배터리 거치대를 잘 잘라서 쓰고, 가능하면 SPH-W2100 충전 거치대 안의 보드와 기구물을 사용하고 싶지만 BP-4L 배터리 크기 때문에 만능 기판 사용으로 선회해야 할 것 같다.

MMF 파일을 MIDI로 바꾸기

대부분의 국내 휴대폰들은 MMF라는 야마하에서 만든 벨소리 포맷을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 미디로 사용할 수도 있고 PCM을 그대로 집어넣을 수 있다. 국내 휴대폰 벨소리는 MMF로 통일되어 있는데, 일부 해외 휴대폰 및 스마트폰은 MMF를 지원하지 않는다. 어쩌면 노키아 휴대폰으로 갈아타면서 잃어버린 것 중 가장 큰 게 MMF 벨소리일지도 모른다. 다행히도 MMF를 지원하지 않는 휴대폰은 일반적인 MIDI는 대부분 지원한다.

MIDI나 음악 파일을 MMF로 만드는 방법은 국내에도 많이 소개되어 있지만 그 역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원음벨 MMF 파일은 PCM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MIDI로 절대 변환할 수 없다. MP3 등의 음악 파일이 ‘음 자체’를 저장한다면, MIDI는 ‘악보’를 저장한다.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 건 누구나 가능하지만, 흘러나오는 곡만 듣고 악보를 그려내는 사람은 신의 영역에 속한다. 따라서 원음벨은 같은 속성을 가지는 MP3 등으로 변환하는 게 좋으며, 미디벨은 MP3 등의 음악 파일로 바꾸기보다는 MIDI를 그대로 뽑아내는 게 용량대비 효율이 좋다. 녹음하는 뻘짓 할 필요가 없다.

MMF를 MIDI로 바꾸는 프로그램은 잘 나오지 않는다. 처음 찾아본 프로그램은 Mobile Music Polyphonic이었다. 과거 버전은 확장자만 바꾼 MMF 파일(ma2, ma3 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UI가 좀 불편해서, 최신 버전을 구해 봤더니 이건 완전 아이폰 전용으로 바뀌어 있어서 원하는 기능인 MIDI 추출은 테스트해 볼 수도 없었다. 좀 더 찾아봤더니 Plinksoft RingtoneComposer 역시 같은 기능을 한다. 아직까지 데모 버전의 제한이 무엇인지는 파악하지 못했지만, MMF->MID 변환 중 파일을 잘라먹지는 않는 것 같다. 그래서 비밀 댓글로 과자제보 받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여튼 처음 프로그램을 켜면 UI가 그다지 단순해 보이지는 않는다. 일단 File->Open SMAF File로 가서 MMF 파일을 하나 찍어서 열자. 원음벨이면 미디 트랙이 하나만 보이고 재생을 눌러도 아무 반응이 없으며, 미디벨이면 트랙이 여러 개 보인다. 원음벨은 MMF를 변환하기보다는 MP3과 같은 더 고음질 파일을 잘라서 쓰는 걸 추천한다. 아무튼 미리 들어보고 원하는 대로 소리가 나는지 확인해 보자. 소리가 제대로 나면 File->Save를 눌러서 미디로 저장한 다음 빠져나온다.

이제 원하는 방법을 써서 휴대폰에 미디 파일을 집어넣자. 기본 음악 재생기로도 재생되며, 프로필 메뉴에서 원하는 파일을 지정해 주면 벨소리로 쓸 수 있다. 이제 MMF 미디벨을 폰 바꿨다고 버리지 말자. 하지만 원음벨은 새로 구하는 게 더 낫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체국 OTP 발급 비용 3000원

우리 학교의 주 거래 은행은 2군데, 우체국과 우리은행이다. (역시 교수는 최강 행정은 막장 ㅋㅇㅅㅌ) 거기다가 지난 여름방학에 높은 이율에 낚여서 신청한 하이투자증권 CMA 계좌 덕분에 무려 보안카드가 3개이다. 셋 다 VirtualBox 안에서(기말고사 덕분에 최근 버전 번역을 못했다. 젠장.)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과도 잘 충돌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합격이지만, 세 종류의 서로 다른 보안카드를 가지고 있는다는 사실 자체가 불편했다.

평소에도 OTP 기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은 했지만 처음 OTP가 나왔을 때 만원 가까이 하는 발급 비용 때문에 망설여 왔다. 그러던 어느 날, 동아리방에 굴러다니는 우체국 OTP를 보고 이거 얼마 하냐고 물어 보니까 3000원 한다고 했다. 숫자 6개만 1분마다 바뀌는 간단한 형태의 OTP지만, 이거 하나로 보안카드 3개를 다 합칠 수 있다는 점이 끌려서 우체국으로 가서 신청하고 왔다. 우체국에 계좌가 있었기 때문에 신분증만 제시하니 만들어 주었다.

일단 OTP를 받아 오면 이렇게 생겼다.

우체국 OTP 박스 정면

우체국 OTP 박스 정면

상자 뒷면에는 OTP 일련 번호와 유효 기간만 나와 있는 창이 파여 있어서 OTP를 최초 등록할 때 사용한다.

우체국 OTP 박스 뒷면

우체국 OTP 박스 뒷면. 시리얼 번호는 가렸다.

상자를 열면 OTP 본체와 사용 설명서가 들어 있다. 여기 보이는 이 녀석은 우체국 스티커가 붙어 있는 RSA SecurID 700 모델이다. RSA 외에도 OTP 제조 회사는 더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TP를 받아 보면 6자리 숫자가 표시되고 맨 오른쪽의 점은 정신없이 깜빡인다. 맨 왼쪽에 있는 6개의 막대기는 유효 기간을 뜻하며 10초가 지날 때마다 하나씩 막대기가 사라진다. 1분이 지나면 막대기 6개가 다시 채워지고 숫자가 바뀐다.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유효 기간이 만료되면 새 OTP를 발급받아야 한다. 요즘 나오는 OTP는 모든 금융 기관에서 하나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통합 OTP이다. 금융 기관마다 발급받아야 하는 보안 카드와는 달리, 통합형 OTP는 제조사 ID와 일련번호만 있으면 어느 금융 기관이나 등록할 수 있다.

일단 우체국에는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우체국 뱅킹에서는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우리은행에 타기관 OTP를 등록하려면 은행 지점에 OTP와 신분증을 들고 가면 바로 처리해 주며, 하이투자증권의 경우에는 HTS 및 홈페이지에서 OTP를 바로 등록할 수 있었다.

하이투자증권 OTP 등록

하이투자증권 OTP 등록

아직까지 대부분 은행들이 타기관 OTP를 등록하려면 영업점에 방문하도록 되어 있지만, OTP 일련번호와 제조사 코드만 있으면 되므로 홈페이지에서도 가능하도록 하는 옵션을 추가했으면 한다.

OTP를 등록하면 계좌 이체 후 공인인증서 암호를 묻기 전, 보안카드 번호를 적는 대신 OTP에 표시되는 숫자를 입력하라고 한다. OTP 숫자의 유효기간은 1분이므로 이 시간 안에 입력하는 게 좋다. 한 번 털리면 끝장나는 보안카드와는 달리 OTP는 내가 잃어버리지 않는 한 특정 시점에서 OTP에 나타나는 숫자가 털려봤자 숫자가 바뀌므로 보안성이 더 좋다. 여러 장의 보안카드 통합의 효과도 있으므로 관리하기도 쉽다.

우리은행 계좌이체 중 OTP 번호 입력

우리은행 계좌이체 중 OTP 번호 입력

OTP를 무료로 발급받는 방법이 찾아 보면은 있겠지만, 이후 갱신 문제도 있고 해서 적은 돈을 내고 주거래 은행 중 한 곳에서 만들었다. 요약하면 OTP 킹왕짱.

서버 근황

11월 15일 있었던 학교 정전 이후 서버가 ‘탔다’. 정전이 끝나고 스위치를 넣는데 부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정전이 되기 전에 shutdown을 사용해서 시스템을 제대로 꺼 놨기 때문에 뭔가 큰 문제일 것 같아서 케이스를 뜯어 보았다. 기존에 사용하던 ASUS P4PE 메인보드는 LED가 달려 있는데, 전원을 넣으니까 LED가 깜빡깜빡였다. 뭔가 메인보드가 맛간 것 같은데, 파워가 원인인 것 같기도 했다. 때마침 SPARCS 작업용 데스크톱을 업그레이드하면서 메인보드가 한 장 비게 되었다. 같은 케이스에다가 꼽아 봤더니 역시 칙칙 하는 소리만 나면서 부팅이 되지 않았다.

파워 이상인 걸 직감하고 새 케이스와 새 파워를 가져와서 부팅을 시도해 보았으나 때는 이미 늦었다. 한 번 파워를 잘못 꼽아 맛간 메인보드는 더 이상 다시 살아나지 않았다. 그 순간만큼 하늘이 노래진 적도 없었다. 결국 내 돈 주고 샀던 메인보드 두 장을 그 길로 버리고(어차피 CPU는 팔아봤자 돈도 안 나오는 물건이니) 램과 하드만 챙겨서 기숙사로 돌아와 서버 계획을 다시 짰다.

예정에 없던 업그레이드를 하는 거라 좋은 쪽으로 생각하기로 했다. 이전부터 생각하고 있었던 부품을 그냥 질러 버리기로 했다. 펜티엄 듀얼코어 E6300(FSB 1066, 2.8GHz), ASRock G41M-S(기가비트 랜 달린 상위 모델이 한국에는 이상하게 안 나왔다), DDR2 램 4GB로 가기로 했다. 파워는 와트당 만원이라는 공식대로 고르고, 케이스와 하드는 있던 걸 재활용하기로 했다. 원래 계획이라면 11월 21일이나 22일 용산에 가서 부품을 사려고 했으나… 19일 목요일에 신종플루로 집에 갇혀 버려서 용산 가는 계획은 허탕만 치게 되었다.

25일이 되어서야 학교로 올라올 수 있었고, 자연스럽게 용산 가는 계획도 29일로 미루어졌다. 일요일에 용산 대부분 가게가 닫는다는 사실을 몰랐던 탓에 선인상가로 들어갔을 때 그 적막감은 잊을 수 없었다. 때마침 서울에는 비도 와 주고 있어서 컴퓨터 부품 가게 찾기는 더더욱 힘들었다. 선인상가를 휘젓고 다닌 끝에 DDR1 메모리 512 4개와 1GB 1개는 적당한 가격에 팔았고, DDR2 2GB를 일단 하나 사 왔다. 펜티엄 듀얼코어 E6300, ASRock G41M-S3, 히로이찌 500W 2개를 사서 대전으로 내려왔는데…

모델명에서 알 수 있듯 저 메인보드는 DDR3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전 조사할 때 그걸 모르지는 않았지만, 일요일 거의 문을 닫은 선인상가에서 간신히 부품 업체를 찾았을 때 기쁨 때문에 DDR3 메인보드라는 건 눈에 보이지도 않았다. 서버의 대부분 부품을 조립했는데 메모리가 없어서 전원을 켜지 못했을 때만큼 난감한 상황도 없었다. 하드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복사하려면 일단 컴퓨터가 켜져야만 하므로 램과 하드만 빼놓고 조립한 다음 DDR3 메모리를 주문했다.

이번에는 최저가에 낚여서 DDR3 2GB 2개를 배송비 포함 10만원에 지른 쇼핑몰과 싸움 시작이다. 배송 자체는 평균적인 속도지만, 쇼핑몰 홈페이지에 전혀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서 보는 사람 더 초조하게 했다. 특히나 이번 경우는 램만 있으면 컴퓨터 완성이라서 기다리는 한 시간, 기다리는 하루가 참 타들어갔다. 배송 자체는 진행되고 있는데 문자도 가지 않고 배송 조회도 안 되어서 이놈들이 날 가지고 장난치나 싶었지만, 일요일 자정에 주문한 게 결국 수요일 저녁에 날아왔다.

파워가 또 타지나 않을까 조심하면서 전원을 넣어 보았다. 과연 연구소 보드답게 POST 그림이 세 종류가 번갈아가면서 나타났다. 바이오스 셋업으로 들어가 보니 섹션 하나를 차지하고 있는 오버클러킹 메뉴가 보이고, 뭐 나머지 셋업들은 괜찮은 편이다. CPU 소켓 위로 콘덴서 박는 자리는 4개지만 실제 콘덴서가 3개만 박혀 있어서 떨어져 나간 거 아닌가 했는데 원래부터 3개라는 걸 알고 마음이 좀 놓였다. 전압이 출렁댄다는 말도 있었는데, 하드웨어 모니터링 칩이 보고하는 전압은 예전 ASUS P4PE보다는 더 안정적이었다. 내가 오버를 안 해서 그런가보다.

기존 하드에 설치된 우분투 8.04도 작동은 하지만 새 보드의 하드웨어 모니터링 칩을 인식하지 못해서 배포판을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 네트워크에 일단 연결한 다음 우분투 8.04->8.10->9.04->9.10이라는 세 단계의 업그레이드를 나눠서 했다. 데비안처럼 소스 리스트만 고치고 apt-get dist-upgrade 해 줘도 될 것 같긴 하지만 우분투에서는 이 방법보다는 자체 업그레이드 관리자를 사용한다. 업그레이드가 다 끝나고 나서야 최근 버전의 우분투에서는 Xen 커널이 빠지고(컴파일은 가능하며, 사용자 공간 유틸리티는 있다) KVM을 주 가상화 도구로 쓴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번에는 중고품을 긁어오는 대신 새 부품들 가지고 서버를 조립한 만큼, 중고품으로 도배한 서버보다는 좀 더 오래 가기를 빈다.

새 서버의 CPU와 메인보드

새 서버의 CPU와 메인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