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peremen

지겨운 떡밥: 한국형 무언가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국산화가 최고의 가치였고, 산업의 원동력이었다. 지금보다도 기술 교류가 훨씬 적었을 때라서 어딘가에서 ‘완성품’을 수입해 오긴 쉬워도 ‘기술’ 자체를 수입해 오기는 어려웠다. 수입할 수 있는 기술은 최대한 배워 오고, 아무 나라에서도 공개하지 않는 기술을 개발하면서 우리 산업이 지금처럼 성장해 왔다. 지금 현대로템이 해외에 진출해서 돈을 벌어오는 것도 일본에서 초저항을 라이센스 생산해 왔을 때부터 쌓인 기술이 있어서이고, 삼성 반도체가 메모리 치킨게임에도 죽지 않는 것도 소용량 메모리칩을 만들었을 때부터 쌓인 기술이 있어서이다.

외국 기술의 국산화 전략은 20세기 말까지 한국 산업을 잘 발전시켜 왔다. 한국의 이동통신 사업이 다른 나라에서 눈을 씻고 봐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다르게 성장한 것도 과거 논문으로만 언급되었던 CDMA를 상용화시킨 것과 무선 인터넷 플랫폼을 생각하기도 전에 WIPI를 만들었던 것 때문이다. KTX-2 또한 알스톰의 TGV 기술을 배워온 것을 토대로 국산화를 시작한 결과이다. 동력 분산식 고속열차 이야기도 단순히 초기 TGV 기술만 가지고 있었다면 생각하기도 힘든 것이다.

21세기 현재, 지금 세계는 20세기에 비해서 국가간 교역량도 증가하였고, 20세기에 쌓은 기술을 가지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거에 유용하게 쓰였지만 현재는 걸림돌이 되는 기술은 과감하게 포기하기도 한다. 유럽 연합에서 단계적으로 적용시켜 나가고 있는 통합 신호 시스템 ETCS도 유럽 연합 각 나라가 자신들의 철도 신호만 고집하겠다면 그 나라만 손해다. 여러 나라를 드나드려면 철도 차량에 각 나라별 신호를 장착해야 하는데, 이는 차량 단가만 높이는 꼴이 된다. ETCS 시스템은 각각 나라별 신호 시스템을 유럽 전체적으로 통용되는 하나로 통일시키자는 것이 목표이다.

산업화 시대에는 나라별 사업의 결과가 눈에 보이는 형태였지만, 지금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사업을 하기도 한다. 최근에 생긴 BM 특허라는 개념은 사업 모델 자체를 특허로 삼는다는 것이다. 오래 전 이야기지만 아마존에서도 ‘인터넷 쇼핑’이라는 개념 자체를 특허로 삼아서 반즈앤노블과 특허 분쟁을 한 적도 있었다. BM 특허를 이야기하면서 이 사건을 자주 이야기하곤 한다.

정보화 시대에서 한국형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그 자체가 고립을 의미한다. 세계의 국경이 옛날보다 더 낮아진 지금은 한 나라에서 만든 모델이 전세계적으로 순식간에 퍼질 수 있다. 아니 한 술 더 떠서 가장 먼저 만든 사람이 세계 표준화시켜 버리면 한국형 표준은 고립을 자처하는 꼴이다. 부요라는 배포판인지 뭔지 모르는 사업도 현재 전혀 레퍼런스를 찾아보기 힘든 것도, 진입 장벽이 매우 낮고 개방된 사업에 한국형이라는 탈을 씌우는 것 자체부터 문제가 된다.

더군다나 한국인의 ‘포기할 줄 모르는’ 성질은 과거에 만들어진 기술이 도태될 때가 되어도 도태시키지 않는다는 문제를 낳는다. 지금 한창 까이고 있는 웹 브라우저 접근성 문제나, WIPI의 무역 장벽 효과도 구닥다리 기술을 한국식, 원천 기술의 이름 하에 들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정부가 주도해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이를 포기할 수는 없고, 그렇다고 시장이 바뀌는 것을 정부가 모른 척 할 수도 없기 때문에 시작은 거창했지만 결과가 비참한 기술이 나오는 것이다.

애플이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를 만들면서, 앱스토어라는 개념을 도입한 지도 시간이 지났다. 중앙 집중형 저장소에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사용자들에게 배포한다는 개념은 앱스토어 등장 전에도 있었다. 대부분 리눅스 배포판이 중앙 집중형 저장소를 사용한 것은 꽤 오래 되었다. 애플은 이를 상업화하는 데 성공하였던 것 뿐이다.

이런 애플을 본받아서 한국형 앱스토어를 만든다는 걸 보면 한심하기만 하다. 중앙 집중형 저장소에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등록하게 한다는 아이디어는 오래 전에도 만들 수 있었는데다가, 모든 휴대폰에 WIPI가 올라와 있는 한국에서는 WIPI SDK를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통신사가 지원만 해 준다면 한국형 앱스토어를 지금 만든다고 설칠 필요도 없었다. 더군다나 앱스토어가 대단한 모델인 양 떠들고 다니는 언론은 그저 까야 마땅할 따름이다.

아무튼 앱스토어에 열광하는 것은 좋다. 우린 앱스토어에 열광만 하고 있었을 게 아니라, 왜 우리는 앱스토어와 같은 모델을 만들 수 없었는지 분석해야 한다. 그것이 21세기 한국 산업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델 노트북 태그의 정체

델 컴퓨터의 바이오스에 들어가 보면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는 태그가 두 개 있다. 하나는 Asset Tag, 다른 하나는 Ownership 태그이다. 델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만으로는 이것을 편집할 수 없기 때문에 이 태그에 신경을 쓰는 사람은 적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이 태그들은 간단한 프로그램만으로도 편집할 수 있다.

델 바이오스 화면의 태그

델 바이오스 화면의 태그

데비안에는 libsmbios-bin이라는 패키지가 있다. 이름이 말하는 것과는 달리 이 패키지는 사실상 델 전용 패키지이다. 내용물을 보아도 델 컴퓨터가 아니면 실행시킬 필요가 전혀 없는 프로그램만 들어 있다. 가령 dellBiosUpdate 같은 프로그램은 델이 아니면 실행시켜 봤자 헛수고일 것이고, serviceTag 같은 프로그램은 델이 아니면 제대로 된 값을 돌려 주지 않을 것이다. 반면 델 사용자라면 이 패키지의 내용물이 꽤 유용하다.

libsmbios-bin은 데비안이나 우분투라면 apt-get install만으로도 쉽게 깔 수 있고, 기타 다른 배포판은 잘 모르겠다. 이 패키지를 설치하면 앞서 이야기했던 델 전용 프로그램이 깔린다. 대부분 프로그램의 이름은 제어하는 장치 이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씩 실행시켜 보면 알 수 있고, 도움말이 나오지 않으면 -h 옵션을 붙이면 된다. 여기에서는 그 중 assetTag와 propertyTag에 대해서 알아 볼 것이다.

델의 Asset Tag는 기업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한 회사에서 다량의 PC를 구입할 때 각각 PC별로 태그를 붙여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바이오스 화면에만 표시된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때때로 윈도 무인 설치 시 이 태그에서 컴퓨터 이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개인 사용자라면 이 태그를 설정할 필요는 없겠지만, 컴퓨터가 여러 대 있다면 유용할지도 모른다. 이 태그는 최고 10자까지 설정할 수 있다.

Ownership Tag는 이와는 달리, 부팅 화면 및 바이오스 화면에 직접적으로 표시된다. 컴퓨터의 사용자가 누구인자를 알려 주는 태그이므로 설정해 두면 이름을 적는 것만큼 유용할 것이다. 어지간한 사용자들은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도난 방지에도 눈꼽만큼은 유용할 것이다. 최고 80자까지 설정할 수 있다. 아래 화면은 Ownership Tag에 설정해 둔 이름이 표시되는 화면이다.

POST 화면에 뜨는 이름

POST 화면에 뜨는 이름

부팅 암호 화면에 뜨는 이름

부팅 암호 화면에 뜨는 이름

아무튼 이 두 태그를 변경하려면 먼저 dcdbas 커널 모듈을 올려야 한다. 이미 이 모듈은 여러 배포판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modprobe 명령을 실행시키면 된다. 그 다음 assetTag와 propertyTag 명령을 실행시키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값을 볼 수 있다. 커널 모듈이 올라가 있지 않으면 오류 메시지가 표시된다. 권한 오류가 나타나면 루트로 실행하면 된다.

값을 설정하려면, assetTag -s (설정할 값) 또는 propertyTag -s (설정할 값)을 입력하면 잠깐 멈칫했다가 값이 설정되었다는 메시지가 뜬다. 바이오스에 암호가 걸려 있다면 –password (바이오스 암호)를 추가해야 성공한다. 암호를 평문으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export HISTSIZE=0을 먼저 입력한 다음 명령행으로 암호를 입력하는 것을 추천한다.

assetTag를 설정하면 바이오스 화면에만, propertyTag를 설정하면 POST 및 부팅 암호 입력 화면에 다 표시된다. 이 두 태그 항목이 바이오스에 있는 모델은 대부분 지원한다. 평소 어떻게 변경하는지 알 수 없었던 태그를 변경해 두면 소유권을 더 확실히 표시해 둘 수 있을 것이다.

블로그에 뻘글 쓰기도 힘든 이유

요즘 어떤 사이트든 뻘글이라도 하나 올리기 힘들어진다. 옛날에는 블로그에 짧은 뻘글도 마음대로 올릴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짧은 뻘글 하나 만들기도 상당히 힘들다. 그렇다고 글 쓸 거리가 바닥난 것도 아니다. 글 쓸 거리야 주변에 얼마든지 많이 널려 있다. 그러면서도 내가 쉽사리 글을 쓰지 못하는 이유는 충분한 배경 지식이 쉽사리 안 모여서이다.

좋은 글을 쓰려면 배경 지식을 충분히 모아야 한다. 하다못해 사람들을 웃기기 위해서 글을 쓰려고 해도 충분한 배경 지식이 있어야 한다.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서 글을 쓸 때 배경 지식은 얼마나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가를 판가름내린다. 예를 들어서 다음 두 문장을 보자.

ETCS는 유럽 연합에서 개발하는 유럽 통합 신호 시스템이다.

ETCS는 1996년부터 유럽 연합에서 개발하기 시작한 유럽 통합 신호 시스템이다. 기존 유럽 국가에서 사용하였던 신호 시스템을 하나로 합쳐서 국가간 통행 비용을 줄이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 두 문장을 비교해 보면 두 번째 문장에 더 많은 정보가 나와 있다. 글에 있는 모든 문장이 첫 번째 문장과 같다면 글을 읽는 사람들이 충실한 글임을 느낄 수 없다. 모든 문장이 두 번째 문장처럼 길어진다면 첫 번째 문장보다는 더 탄탄한 글이 될 수 있다. 진지한 글을 쓸 때도 이런 고민을 해 보아야 하는데, 웃긴 글을 쓰는 경우에는 더 그렇다.

며칠 전 논술 시간에 했던 이야기이다. “한 사람이 공원에서 비둘기 150마리를 죽였다.” 이 결론을 가지고 이야기를 지어 보라고 했다. 먼저 이 황당한 이야기를 이해하려고 시도해 본 다음, 150마리를 어떻게 죽였을법직한 스토리를 먼저 구성한다. 그렇게 스토리를 짜 본 다음 말이 안 되는 것 같은 부분이 생기면 그 부분의 내용을 좀 더 보강시켜 본다. 이 과정을 거쳐서 글이 완성이야 될 수 있지만, 곳곳에 땜빵한 흔적이 보인다는 것은 신경에 거슬릴 수도 있다.

교수님께서 이야기한 방법은, 이야기를 각각 부분별로 나눈 다음, 부분별로 적당한 결론을 내리고 전체적인 흐름을 비둘기 죽이기로 몰아 나간다는 것이다. 각각 부분별로 결론에 하자가 없으면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한다는 이유였다. 방에 와서 룸메이트와 이야기해 보다가, 그 동안 백괴사전에서 정책과 지침을 통해서 하고 싶었던 말이 바로 이 소리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백괴사전으로 가도 대놓고 웃기려고 쓴 글은 사람들이 별로 재미있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대놓고 웃기는 글이라면 사람들을 무작정 까는 글이거나, 끝을 카더라로 도배하거나, 단순한 말장난만 가지고 웃기려는 글이다. 하지만 이러한 글은 처음 봤을 때는 웃기지도 모르겠으나, 여러 번 보게 되거나 다른 글과 같이 보게되면 오히려 더 재미없어질 때도 있다. 그래서 난 백괴사전의 각종 정책과 지침을 통해서 너무 대놓고 웃기는 글을 쓰기보다는 고품격 유머를 구사해 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막상 내가 고품격으로 글을 쓰려고 해도 내 뜻대로 잘 되지 않아서 문제다. 무언가를 충분히 웃기려면 위키백과에 무언가 글을 쓰는 것 이상으로 세세한 조사를 해야 한다. 이들 정보를 가지고 잘 조합해서 엉뚱한 결론을 이끌어내야 재미있는 글이 된다. 이 과정도 마냥 성공하지만 않는 것이, 진지함과 재미있음은 정말 백지 한장 차이다. 결론을 어떻게 도출하는가에 따라서 잼이 없음 틀이 꼽히고 삭제되기도 하고, 대문에 특집 기사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관리자라는 직책 때문인지 괜히 어설프게 글을 쓰면 다른 회원들마저 글을 어설프게 쓰게 되기 때문에, 난 글 하나 올리는 것도 상당히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지금 준비하고 있는 글 중에는 ETCS/ERTMS 시스템에 관한 글도 있고, 한국 철도 동호계의 일본 의존성을 비판하는 글도 있다. 이 둘 다 충분한 자료를 모으지 않으면 772들의 떡밥으로 두고두고 쓰일지도 모르고, 열심히 글을 써 놨는데 어디가 틀렸다는 댓글이 달리면 나로서도 마음이 아프다. 자료가 충분히 모이지 않아서 이들 글을 깔끔하게 마무리짓기 힘들다는 말을 이 글로 대신하고 싶다.

* 알림: 이 글은 2009년 봄학기 카이스트 과학적 글쓰기 과목에 사용할 예정으로 쓴 글입니다. 무단 복제 및 불펌 금지.

본격 하드 망하는 이야기

넵. 역시 델 서비스는 본좌였습니다. 지난번 서비스 때 하드디스크도 이상한 것 같다고 델 쪽에서 이야기했는데, 그 때는 하드가 멀쩡했기 때문에 따로 갈아달라고 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멀쩡하게 쓴 것 같은 파일을 읽어오는 데 읽기 오류가 뜨는 걸 보고 뭔가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느꼈다.

하드디스크의 상태를 알려 주기 위한 SMART라는 프로토콜이 있다. 현재까지의 하드디스크 상태 및 읽기 오류 수 등을 알려 주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많은 운영 체제에서 SMART를 통한 하드디스크 모니터링을 지원하며, 리눅스에서는 smartmontools라는 패키지를 설치하면 smartctl이 생긴다. smartctl을 사용하면 SMART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모든 하드디스크 정보를 볼 수 있으며, 그 중에는 사용 시간이나 발생한 오류 수, 현재 온도 등이 있다.

SMART 명령 중에는 자가 진단 명령도 있다. 실행해 보면 하드디스크 상태가 정상인지, 읽기 오류가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 델 진단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모르겠지만, smartctl을 통해서 자가 진단 명령어를 내려 보니까 약속이라도 했다는 듯이 오류가 발생했다. 어딘가 블록에서 읽기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아무튼 이 읽기 오류 때문에 멀쩡히 잘 썼던 것 같은 파일을 읽어 오지 못했던 것 같다.

그래도 SMART 결과가 의심스러워서 한 번 badblocks를 돌려 보았다. 그냥 badblocks만 실행시키면 너무나도 과묵하기 때문에 -vv 스위치는 꼭 붙여야 뭔가 결과를 볼 수 있다. 중반까지는 가서 중단될 줄 알았던 테스트가 0.1%도 못 가고 중단되었다. 즉 배드 섹터가 생각보다는 많았다는 것이다. 당장 외장하드 꺼내서 백업해야겠다.

물리적인 배드 섹터는 한 번 발생하면 빠르게 퍼져나간다. 물리적인 배드 섹터는 플래터가 긁히는 등 손상을 입었을 경우 대개 발생한다. 그런데 긁힘이란 것이 원래 그렇듯 한 번 긁히는 것이 어렵지 한 번 긁히고 나면 다른 부분이 긁히기는 상당히 쉽다. 따라서 한 번 하드디스크가 손상되었다면 무조건 교체를 해야 한다. 다행히도 보증 기간 1년이 얼마 남지 않아서 하드디스크는 적당히 교체하면 되겠다.

어쨌든 노트북 사고 1년 안에 주요 부분들이 한 번씩 순회 고장을 일으켜 주었으니 앞으로 노트북이 언제 어떻게 고장나지만 않으면 된다.

델 서비스 이용 후기

평소 리눅스만 쓰고 있었을 때는 그래픽이 깨지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사건의 발단은 어느 날 윈도로 부팅하면서부터였다. 윈도로 들어가서 즐겁게 IP 설정을 바꾸고 있었는데 갑자기 화면이 파래지면서 컴퓨터가 동작하지 않는다. 뭔가 해서 다시 부팅해 보았더니, 일단은 괜찮아지는 것 같았다. 진짜 문제는 다시 리눅스로 들어가서였는데, 부팅 화면에 퍼런 줄이 가지를 않나, KDE를 잘 쓰는 중에 갑자기 배경이 번쩍이면서 다운되는 등 참 다양했다.

다행히도 다시 부팅했을 때 커널 메시지를 얻을 수 있었다.

Feb 10 12:08:59 saebyuk kernel: [82830.522183] NVRM: Xid (0001:00): 13, 0003 00000000 00008297 00001b0c 1000f010 00000001
Feb 10 12:08:59 saebyuk kernel: [82830.632358] NVRM: Xid (0001:00): 13, 0001 00000000 0000502d 0000083c ffffff01 00000004
Feb 10 12:09:30 saebyuk kernel: [82860.885034] NVRM: Xid (0001:00): 13, 0001 00000000 00005097 0000194c 00000000 00000100
Feb 10 12:09:30 saebyuk kernel: [82860.969370] NVRM: Xid (0001:00): 13, 0001 00000000 00005039 00000328 00000000 00000002
Feb 10 12:09:30 saebyuk kernel: [82861.054352] NVRM: Xid (0001:00): 13, 0001 00000000 00005039 00000328 00000000 00000002
Feb 10 12:09:30 saebyuk kernel: [82861.138149] NVRM: Xid (0001:00): 13, 0001 00000000 00005039 00000328 00000000 00000002
Feb 10 12:09:30 saebyuk kernel: [82861.224289] NVRM: Xid (0001:00): 13, 0001 00000000 00005039 00000328 00000000 00000002
Feb 10 12:09:30 saebyuk kernel: [82861.306794] NVRM: Xid (0001:00): 13, 0001 00000000 00005039 00000328 00000000 00000002

아니 이게 무슨 소리인가! NVRM이 고자라니! X.org 로그에는 단서가 될 만한 말들이 없어서 그냥 이 커널 메시지를 가지고 구글에 검색해 보았더니, 드라이버 문제가 된다는 말 빼고는 명확한 답을 들을 수 없었다. 마침 머릿속에 떠오른 건 8400M/8600M 결함에 관한 이야기였고, 왠지 이게 답일 것 같아서 델 콜센터에 전화를 때렸다.

나베르 지식KiN에서 델 콜센터로 검색을 해 보니 웬 짱깨가 받는다는 말을 해서 처음에는 잔뜩 긴장한 채로 전화를 했다. 참고로 델 개인용 콜센터 전화번호는 080-200-3800, 기업용 콜센터 전화번호는 080-854-0006이다. 델에서 전화가 오면 02-38xx 국번으로 시작하는 전화가 온다. 하여간 델 홈페이지에서 이 정보를 찾지 못해서 한참을 헤매다가 일단 개인용 콜센터로 전화를 걸어 보았다.

전화를 걸게 되면 일단 고객 구분을 물어보고, 그 다음 데스크톱인지 노트북인지를 물어본다. 그 다음 콜센터 직원에게 전화를 돌려준다. 일단 직원이 전화를 받으면, 증상을 이야기하고 서비스 태그 번호를 알려주면 된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내 서비스 태그 번호는 기업용 제품에 해당한다고 해서 기업용 콜센터 번호를 알려 주었고, 그래서 두 번째 번호로 전화를 다시 해 보았다.

역시나 비슷한 과정이 반복되며, 콜센터 직원이 문제를 파악했으면 기사를 불러 줄 주소를 불러달라고 한다. 때때로 문제를 파악하지 못했으면 진단 부트 모드로 들어가 보라고 한 다음, 오류 코드를 불러 달라고 한다. 진단 부트 모드에서는 자체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여기에서 나오는 오류 코드로 대략적인 고장 증상을 파악할 수 있다.

하여튼 내 경우에는 그래픽 카드 문제였기 때문에 메인보드를 교체해 주겠다는 말을 들었고, 바로 다음날 기사를 불러 주겠다고 했다. 그리고 약속대로 내일 기사가 학교 기숙사 쪽으로 찾아왔다. 물론 메인보드를 들고 왔다.

내 문제에 대해서 난 어느 정도 배경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일단 새 메인보드부터 닥치고 확인해 봤다. 그래픽 카드의 파트 번호는 “G86-631-A2″라고 쓰여 있었다. 그리고 바이오스 A13 보드 리비전 A00이라고 포장지에 쓰여 있었다. 바이오스 A13은 지금은 삭제되긴 했지만 저 문제가 터지고 나서 나왔던 것이기 때문에 일단 제대로 된 부품이 들어 있는 보드라고 추정된다.

몇 분 쯤 기다리다 보니 기사가 메인보드를 해체하였다. 그리고 새 메인보드를 끼우는 동안 옛날 메인보드를 감상해 보았다. 예상대로 그래픽 칩셋은 G86-630-A2가 들어 있었다. 확실히 그래픽 칩셋의 종류가 바뀐 건 맞다.

과거 메인보드의 GPU

과거 메인보드의 GPU. G86-630-A2에 주목.

여튼 이게 끝나고 나서 노트북을 다시 조립하였고, 기사는 서비스 태그를 설정하고 갔다. 델 노트북의 서비스 태그는 시리얼 번호와 같은 것이다. 이 번호를 가지고 모델명이나 보증 기간 같은 정보를 조회해 볼 수 있다. 기사가 가고 나서 수리 확인서를 살짝 보다가 역시 델이 본좌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델 장애 지원 확인서

델 장애 지원 확인서. 운영체제 란을 주목하면 된다.

여튼 난 저 점 하나 때문이라도 델 서비스에 후한 점수를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