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일상

전자제품 수리에 관한 짧은 고찰

상황 1. 2007년 1월 말.

며칠 전부터 통화가 안 되더니, 드디어 LC8000이 전파를 못 잡기 시작했다. LG전자 서비스 센터에 가지고 간 결과, 1차 진단으로 안테나부터 바꾸어 보자고 했다. 안테나 수리 비용은 2만원 미만이라서 큰 기대를 했다. 그러나 웬일. 안테나를 새로 갈아 끼워도 전파 상태가 먹통이다. 결국 CDMA 모듈 교체까지 갈 뻔 했으나, 13만원이라는 비용 때문에 “차라리 새로 사겠다”고 결심해서 결국 SPH-W2100을 질렀다. 그 주변 가격이었다.

상황 2. 2007년 7월 초.

방학을 마치고 집에 와서 소니 미니 컴포넌트를 작동시켜 보았다. 그런데 카세트도 CD도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소니 서비스 센터에 가지고 가 보았더니, 카세트는 모터, CD는 픽업을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서비스 센터에서 하는 말이, “수리 비용 정도면 요즘에는 동급 모델 새로 살 수 있다”. 그래도 음질이 꽤 괜찮아서 수리를 해 보려고 했다. 또 걸려온 전화 왈. “부품이 다 떨어져서 수리를 할 수 없으니 가져가라”. 결국 파나소닉에서 나온 미니 컴포넌트를 질렀으나, 소리 느낌이 달라서 아직도 어색하다.

상황 3. 오늘 아침.

며칠 전에 냉장고가 고장났다. 아침 8:30에 GE 서비스 센터를 불렀더니, 약 10:30에 온다고 했다. 공기 순환 팬 이상으로 수리비가 20만원 나온다는 진단을 했다. 컴프레서가 고장나지 않은 것이 다행이었다. 수리비를 카드로 결제한 다음 냉장고는 아무 일 없었다는 것이 제대로 동작했다. 서비스 기사가 가고 나서 슬쩍 본 AS 내역서의 구입 일자. 1995년 12월 1일. 저번에 외할머니집 LG 냉장고가 고장났을 때 부품에 없어서 새로 산 것이 기억났다.

나는 웬만하면 새로 무언가를 사기보다는 물건을 고쳐서 쓰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나 그 물건이 만들어진 지 오래 되면 되었을수록 힘들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제조회사마다 부품 보유 년한이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 구입한 W2100의 사용설명서 뒤에는 부품 보유기간이 “제품 단종 후 5년”이라고 되어 있다. 5년? 그 다음에는? 그 다음부터는 운이 따라 주어야 한다.

냉장고 이야기에서 잠시 나왔던 외할머니 집 냉장고도 컴프레서 문제였다고 기억한다. 정확히 맞는 부품이 없어서 요즘의 부품 중 비슷한 것을 끼웠지만 동작하지 않았다. 결국 새로 사게 만든 문제다. 반면 우리 집의 GE 냉장고는 나온 지 10년이 넘은 모델이지만 아직도 부품이 있었다. 기본 구조를 바꾸지 않아서 있는 것인지, 아니면 재고가 한참 남아 있는 것인지 몰라도 놀라웠다.

또 하나의 이유는 새 것을 사는 비용이 놀라울 만큼 싸졌다는 것이다. 몇 해 전만 해도 물건이 고장났다고 버리고 새로 사는 것은 일부 부자들의 전유물인 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누구나 그 생각을 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이런 생각의 단점은 새로운 물건이 교체되는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서, 그만큼 부산물도 많이 따라온다는 것이다. 과연 오늘 버린 오디오를 어디에 어떻게 재활용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언젠가는 중고 휴대폰을 가지고 오면 KTX 승차권을 주는 이벤트도 하지 않았는가.

물건을 계속 고쳐서 쓰는 것이 자원 낭비를 하지 않는 길인 것은 안다. 그러나 현대의 상황은 그런 소비자들에게 또 다른 물건을 권하는 것 같아서 씁쓸하다.

백괴사전 글 600개 돌파

어저께 법회에 끌려갔다 온 이후 백괴사전에 잠시 들어가 봤더니, 그새 문서의 개수가 600개를 넘어섰다. 500개를 넘긴 것이 며칠 전이었는데, 그새 600개를 찔렀다는 것이 놀랍다. 내 서버에서 돌아가던 개인 위키 시절이 엊그제 같았는데 이렇게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 놀랍다.

로리대령과 잠깐 나눈 대화이다.

<Luftschloss> 음 n_user(t) 랑 n_article(t) 그래프 그릴수 있나 확인좀 해봐
<peremen> 야 수작업이야
<Luftschloss> 그러니가 하지 않겠는가!
<Luftschloss> 수작업은 역시 전산계인 네놈이
<Luftschloss> —
<peremen> 귀찮아 임마

<Luftschloss> n_user(t) 는 단순히 ‘가입자’ 숫자만 세라
<peremen> 그런데 그거 왜 그리려는 거냐?
<Luftschloss> 추세선 가지고 모델 세우려고 그런다

<peremen> 뭐 시간 나면 나중에 해 주지

<Luftschloss> 아 그래 분류트리는 만들었냐?
<Luftschloss> 봇 돌린다면서
<Luftschloss> —
<peremen> 다시 만들어야 돼
<peremen> 귀찮
<Luftschloss> 추세선 그리는건 대충 ‘자립가능한 위키’가 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보려고 그런다
<peremen> 협조해 주지
<Luftschloss> 보통 자립 가능한 위키가 되려면 적어도 만장은 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peremen> 지금은 겨우 600장?
<Luftschloss> ㅇ
<Luftschloss> 나는 지금 백괴 성장 모델이 exp(t) 로 예상하고 있음
<Luftschloss> 그래서 얼마나 걸릴지를 계산해보려고
<Luftschloss> 159명이라

빠른 속도로 얻어 가고 있는 운동량을 잘 제어하는 것도 관리자의 충분한 역량이다. 아직까지는 최근 바뀜에 올라 오는 변경 사항을 현재 관리자 수로 통제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러나 정책 수립 같은 것은 좀 힘들어지고 있다. 큰 위키 같은 경우 자정 능력이 있어서 통제가 가능하고, 작은 위키의 경우에는 주도하는 사람에 의해서 얼마든지 자유롭게 바뀔 수 있다. 하지만 어중간한 위키의 경우에는 자정 능력을 믿자니 인원이 적고, 마음대로 만들자니 눈치 볼 것이 많다.

이래저래 관리자가 되고 싶은 사람은 많지만, “위키의 첫 삽을 뜬 사람”의 지위에 있다 보니깐 더 힘든 것 같다. 자 1000개를 향하여!

최근 삽질

에헤라디야 텝스도 일단 끝났는데 다음 학기 미적2가 걱정이 된다. 미적 2 부분은 겨울 방학에도 봐 두었지만, 이번에 또 다시 보고 있다. 예습의 효과 덕분인지 빨리빨리 봐 진다는 장점이 있는 것 같다. 무한급수 부분이 엄청 귀찮은 계산을 동반하고 있다는 게 좀 안타깝지만, 지금은 다행히도 벡터를 보고 있다. 귀찮은 계산이 사라져서 다행이다. 그러나 벡터 지나면 이제부터 다변수 미적분이 기다리고 있다. 망했다.

게다가 졸업 논문도 한창 쓰고 있다. 뭐 어떤 결과가 나오든간에 지난 2년 동안 못 했던 삽질의 결정체가 되어 가고 있다는 건 당연한 거고, 실험과 결과 정리도 꼭 하고 끝내기로 했다. 제대로 파 보려면 밑도 끝도 없는 삽질이 될 수도 있다는 주위의 권고도 있지만, 이미 발 붙여 버린 것 제대로 결과나 보고 끝내고 싶다. 실험 대상이 될 소스 코드들을 선택하고,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개선하다 보면 논문은 끝날 것 같다.

학교 개학하자마자 원서 접수철도 시작되고, 면접 끝나고 결과 발표가 끝나면 그 동안 접어 두었던 프로젝트나 다시 꺼내 보고 싶다. 그리고 내년 봄도 점점 가까워지고.. 기대된다.

옛다 잠수

텝스 시험 관계로 8월 4일까지 모든 온라인 업무를 중단합니다. libanycall/libpunk 프로젝트는 그 때 다시 시작하도록 하죠 뭐. 정 급하시면 휴대폰은 항상 살아 있습니다. 번호는 알아서 가져가십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