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DE 번역을 테스트해 본다고 국산 리눅스 배포판을 두 개나 깔아 보았다. 하나는 한소프트 리눅스 오픈에디션 3이고 또 하나는 딛고 2005이다. VirtualBox 안에다가 리눅스 위에 리눅스(!)를 까는 식으로 설정해 보았다.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VirtualBox 커널 모듈도 잘 올라왔고 게스트 확장도 잘 작동했다. 그러나 이들이 보여 주었던 번역이나 문서 품질은 실망스러웠다.
나는 번역 품질을 주로 KDE 위주로 검사하였다. 한소프트 리눅스 오픈에디션 3을 보면 KDE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있었다. 그렇게 KDE를 켜고 나니, jachin 님이 한 때 말했던 것처럼 “알바를 고용해서 번역한다”는 말이 왠지 진짜 같았다. 번역률 자체는 높았지만 뭔가 2% 부족한 느낌이 다가왔다. 그래도 일부 설정 모듈 번역에서는 KDE 4 SVN을 다듬어 갈 만한 힌트를 찾을 수 있었다. 기대했던 도움말은 실망으로 끝났다. 없었다.
자 그 다음 딛고 2005를 깔아 보았다. 부요라는 것이 믿기 힘든 물건이라고 해도 정부 돈을 들여서 개발했다고 하니깐 뭔가 좋은 게 있을 줄 알았다. 자 기본 그놈 데스크톱 환경은 양호하다. 그러나 KDE는… KDE는… 한소프트 리눅스의 것을 거의 손도 안 보고 가져온 것 같다. KLDP에 떴던 CD를 택배로 보내 준다는 말에 혹해서 매뉴얼이라도 보자 했더니 정말 간단한 사용 안내서였다. 하지만 매뉴얼과 CD 케이스 제작비가 워낙 비싸 보여서 택배비 3500원이 결코 아깝지 않다고 생각했다.

딛고 2005 CD 케이스. 3500원이 아깝지 않았다.
이제 외국산 배포판들도 한국어 환경을 완벽하게 지원해서 더 이상 국산 배포판의 메리트가 없어진 상황에서, 국산 배포판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한국어로 작성된 문서 뿐이다. 전번 10월 6일 했던 이야기 중 “GUI 번역은 쉽다. 그러나 문서 번역은 전문 집필가가 도와 줬으면 한다”는 말이 있었다. 외국산 배포판은 영어 문서가 풍부하지만 실제로 읽기 위해서는 또 노력을 해야 한다. 무조건 우리 것을 고집하기보다는, 우리 것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으로 다가가는 것이 앞으로의 리눅스 산업 발전에도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번역물을 자기 혼자 쓰지 말고 다른 배포판 사용자들과 공개하기 위한 업스트림과의 활발한 교류도.
추신: 혹시 제가 테스트해 보지 못한 국산 배포판 중에서 KDE 번역이 잘 되어 있는 배포판은 항상 구합니다. 책임지고 업스트림에 넣어 드리겠습니다.